급격하게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국가 재난 관리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 및 붕괴 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은 기존의 재난 대응 체계로는 한계에 직면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정부는 과학기술 발전과 디지털 전환을 핵심 동력으로 삼아 재난 및 안전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해왔다. 이러한 정책 기조에 발맞춰 소방청은 기존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단순한 조직 명칭 변경을 넘어, 다가오는 미래 재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풀이된다.
새롭게 개편된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 현장 활동 지원을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 개발 및 기획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인공지능을 비롯한 다양한 과학기술을 소방 정책에 접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인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이는 곧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을 확립하고,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 정책이야말로 기후위기 시대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조직 개편과 기술 투자 확대를 통해 소방청은 복합 재난 시대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국민의 안전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