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193개 유엔 회원국 중 마지막 미수교국이었던 시리아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며 전 지구적 외교 네트워크를 완성하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 2025년 4월 10일, 조태열 외교부 장관의 극비 방한으로 성사된 이번 수교는 오랜 독재 정권의 갑작스러운 붕괴라는 격변의 시기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는 단순히 국가 간의 관계 수립을 넘어, 한국 외교 지형의 마지막 퍼즐 조각을 맞추는 극적인 순간으로 평가된다.
이번 수교를 가능하게 한 근본적인 배경에는 시리아의 54년간 이어진 하페즈 알아사드 부자 세습 독재 정권의 몰락이 자리한다.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혁명 이후 알아사드 정권에 맞서 싸워온 시리아해방기구(HTS)는 2024년 11월 말, 재정비된 전력을 바탕으로 수도 다마스쿠스를 장악했다. 300km 떨어진 거점에서 출발한 HTS는 열흘 만에 다마스쿠스를 점령했으며, ‘시리아의 도살자’로 불리던 바샤르 알아사드는 후원국 러시아로 도주했다. 이로써 1970년 쿠데타로 집권한 하페즈 알아사드 이래 54년간 지속된 독재 체제는 명백한 전조 없이, 독재 체제 특유의 구조적 한계와 함께 극적으로 막을 내렸다.
이러한 시리아의 급격한 변화는 한국 외교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다. 지난해 2월 북한과만 수교해 오던 쿠바와의 관계 수립에 이어, 이번 시리아와의 수교는 한국이 북한을 제외한 모든 유엔 회원국과 외교 관계를 맺는다는 의미 있는 성과를 안겨주었다. 이는 북한의 주요 해외 공작 거점을 또 하나 잃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외교적 고립을 심화시킬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알아사드 정권 붕괴 당시 현지 북한 대사관은 서둘러 철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리아의 독재 체제 몰락은 단순히 국내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중동 정세의 급변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023년 10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이후, 이란의 지원을 받던 하마스와 헤즈볼라가 와해되고 이란 혁명수비대 역시 큰 타격을 입었다. HTS의 다마스쿠스 진격 당시, 시리아의 오랜 후원자였던 이란은 정부군을 제대로 지원할 수 없었고, 우크라이나전에 집중하던 러시아 역시 무기력한 상태였다. 이러한 역내 권력 균형의 변화는 독재 정권의 취약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시리아 정권의 몰락은 북한에게도 실존적 불안감을 안겨줄 것으로 보인다. 김일성 시대부터 혈맹 관계를 유지해 온 시리아 정권의 갑작스러운 붕괴는 북한이 러시아와의 군사 동맹에 의지하는 생존 전략의 취약성을 드러낸다. 러시아와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까지 약속한 북한은 최근 미국과 러시아 사이의 관계 변화를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한편, 2025년 1월 HTS 수장 아흐메드 알샤라는 과도정부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새로운 시리아 건설의 첫 발을 내디뎠다. 알샤라 대통령은 내전으로 붕괴된 경제 복구와 헌법 채택, 선거 시행까지 최대 4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특히 경제 위축과 만연한 빈곤 문제를 최대 과제로 제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리아는 한국의 경제 성장 비결에 깊은 관심을 표하며 발전 모델 학습을 위한 실무 대표단 파견 의사를 밝혔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 역시 개발 경험 공유, 인도적 지원, 경제 재건 협력을 제안하며 상호 발전적인 협력 관계 구축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국은 아시아적 가치를 지키면서 시장경제를 성공적으로 이룬 사례로 중동 국가들로부터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우리의 경험이 새로운 시리아를 꿈꾸는 이들에게 희망과 확신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