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다수의 행정정보시스템이 중단되면서 국민들이 겪는 불편과 행정 공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긴 추석 연휴를 앞둔 시점에서 119안전신고와 같은 필수적인 서비스의 마비는 국민들의 안전과 재난 관리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또한, 국가의 주요 기록물을 열람할 수 있는 국가기록포털의 중단은 정보 접근성에 대한 문제를 야기했다. 과거에 사용하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가 복원되지 못하면서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불편함은 더욱 가중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의 취약성과 재난 대응 시스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는 2일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 제공이 재개되었음을 확인했다. 특히, 국민들의 안전과 직결된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와 국가의 소중한 기록물을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의 재가동은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발생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에 사용되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재개하는 조치를 취했다.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도 가속화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고, 예비비를 투입하여 복구 작업에 필요한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 하정우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를 통해 안정성과 재발 방지까지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국민들의 불편을 줄여나가고 있다. 또한, 행정안전부는 복구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 등에서 수시로 갱신하여 안내하고 있다.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와 더불어,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의지가 표명되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실시간 복구 현황 공개 및 대체 서비스 마련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 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하여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인 국가 정보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데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을 경우,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고 국민들이 안심하고 행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