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기록적인 폭우로 몸과 마음이 지쳐가는 여름, 일상에서 벗어나 활력을 찾고자 하는 갈증이 커지고 있다. 여행을 떠나고 싶지만 시간과 비용의 제약으로 망설이는 이들에게, 서울 마포구의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가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바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을 통해서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의 도서관 중심에서 벗어나 독립 서점이라는 신선한 공간에서 펼쳐지며, 특히 <영화로 보는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참여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하고 있다.
‘가가77페이지’가 마련한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인문학적 성찰을 통해 생각의 지평을 넓히고 더 나아가 삶의 의미를 탐구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 지식을 전달하기보다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를 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이라며, “어렵게만 느껴지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를 바탕으로 연 뒤, 영화와 관련된 철학, 문학 서적들을 통해 깊이 있게 다가가는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인문학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고 있으며, 12세 이상(특정 영화는 15세 이상)으로 참여 대상 연령을 설정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지난 7월 21일(월)부터 시작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첫 회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함께 관람한 후, 강연과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토론을 통해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이라는 영화의 주제를 깊이 있게 파고들었다. 영화 속 키팅 선생이 학생들에게 외쳤던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메시지는 참여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다. 참여자 박근주 씨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그 속에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제 삶에 연결해보고 싶었다”며, “일상의 반복적인 흐름에서 벗어나 강연자 및 다른 참여자들과 소통하며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고 프로그램 참여 이유를 밝혔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동네 서점의 활성화라는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이상명 대표는 “실제 책의 위기가 시작된 것은 꽤 오래전부터였고, 책방도 마찬가지”라며, “책을 읽는 사람들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책만 판다는 것은 가능성을 제약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책방이야말로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다른 어떤 곳보다 많다”고 강조하며, ‘가가77페이지’를 “문화의 많은 것들을 담고 즐기고 또 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참여자들은 서점에 미리 도착하여 책을 읽거나 구매하는 등 자연스럽게 서점 문화를 향유하며, 이는 침체된 지역 서점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 아래 전국 각지에서 펼쳐지고 있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인문학, 지역문화, 책, 길, 저자, 독자, 공공도서관, 지역 주민이 함께 만나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하반기에도 이어질 인문학 프로그램은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인간과 세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통해 삶의 지혜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가가77페이지’에서의 ‘길 위의 인문학’ 경험은 무더위에 지친 일상에 새로운 영감을 불어넣으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과 자신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여정으로 이끌어 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