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분증이나 메신저 앱을 통한 금융 사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개인의 일상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은 이러한 사기에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거창한 첨단 기술보다는 일상 속 정보 공유와 예방 교육이 이러한 피해를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강조되는 가운데, 우정사업본부가 전국 농어촌 지역 고령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을 확대하며 보이스피싱 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작년 여름, 한 주무관은 친정 부모님 댁에서 평범한 시간을 보내던 중 어머니로부터 황당한 말을 들었다. 어머니는 딸이 핸드폰을 떨어뜨려 파손되었고, 가족 할인을 받기 위해 신분증 사진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받았다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딸의 핸드폰은 멀쩡했으며, 이 모든 상황이 보이스피싱의 전조임을 직감하게 되었다. 어머니는 4시간 전, 낯선 번호로 받은 카카오톡 메시지를 전혀 의심하지 않고 딸의 말투 그대로 전달되는 내용에 따라 신분증 사진을 보냈고, 안내된 링크를 클릭했던 것이었다.
어머니의 핸드폰에는 처음 보는 이상한 앱들이 다수 설치되어 있었고, 문제는 더욱 심각했다. 가족은 즉시 경찰서로 향했지만, 토요일이라 민원실만 운영 중이었고, 구체적인 피해 사실이 확인되지 않아 신고 접수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경찰서 민원실에서 받은 대처 방법 안내문을 들고 집으로 돌아온 가족은 안내문에 따라 신분증 분실 신고를 하고, 악성 앱을 제거하는 등 수습에 나섰다. 또한, 금융감독원에 개인정보 노출 사실을 등록하고, 명의 도용 피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서비스를 이용했다.
그 결과, 어머니 명의로 두 개의 대포폰이 개통되었고, 10개가 넘는 온라인 사이트에 가입되었으며, 원래 핸드폰 번호를 이용해 50만 원의 소액결제까지 이루어진 사실이 드러났다. 다행히 어머니가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지 않아 더 큰 금전적 피해는 막을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험은 어머니에게 큰 충격과 속상함을 안겨주었다. 이는 단순히 ‘남의 이야기’가 아닌, 전화 한 통, 메시지 하나로 일상에 파고드는 ‘생활 속 범죄’가 현실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이러한 심각성을 인식한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4월부터 부산, 강원, 충청 등 농어촌 지역 고령층을 대상으로 ‘우체국 디지털 교육’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이번 교육은 보이스피싱 예방법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모바일뱅킹, ATM 사용법 등 실제 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활용 능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시범 운영을 거쳐 올해 하반기부터는 전국 농어촌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처럼 소소해 보일 수 있는 디지털 교육은 신분증이나 카카오톡 메시지 하나로 인생이 흔들릴 수 있는 현대 사회에서, 거창한 기술이 아닌 일상 속 정보 공유와 예방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강조한다. 우정사업본부는 오늘도 전국 곳곳에서 어르신들과 직접 만나 이 작은 교육이 자신은 물론, 가족과 이웃, 그리고 우리 사회 전체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패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