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취업 사기 및 감금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면서,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캄보디아 시하누크빌에 있는 범죄 단지로 추정되는 건물 인근에 3m가 넘는 담벼락이 설치된 사진이 공개되는 등, 현지에서의 위험 징후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히 개인적인 피해를 넘어 국가적 차원의 국민 보호 시스템이 작동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외교부는 캄보디아 일부 지역에 대해 16일 00시부로 최고 단계인 여행경보 4단계, 즉 ‘여행금지’를 발령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현재 특별여행주의보가 발령된 지역 중 캄폿주 보코산 지역, 바벳시, 포이펫시가 이로 지정되며, 시하누크빌주는 3단계인 ‘출국 권고’로 상향 조정되는 조치다. 이와 더불어 여타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지역은 기존 효력을 유지하고, 1단계 ‘여행 유의’ 지역은 2단계 ‘여행 자제’로 경보 수준이 조정된다. 이러한 조치는 캄보디아 내에서 발생하는 취업 사기 및 감금 피해로부터 우리 국민을 실질적으로 보호하고, 잠재적인 피해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더불어 외교부는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14일 박일 전 주레바논대사를 팀장으로 하는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대응 TF’를 공식 발족했다. 이 TF팀에는 영사안전국, 아세안국, 개발협력국 등 외교부 내 관련 실·국이 참여하며, 캄보디아 현지에 체류하며 주캄보디아대사관 신임대사 부임 전까지 관련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박일 팀장은 이미 중동 정세 악화 속에서 레바논 체류 우리 국민 97명의 안전 귀국을 성공적으로 지원한 경험이 있어, 이번 TF팀의 운영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TF팀은 캄보디아 당국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피해 대응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번 외교부의 적극적인 대응은 캄보디아에서의 취업 사기 및 감금 피해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국가적 현안으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준다. 여행경보 단계 상향 조정과 TF팀의 긴급 가동은 캄보디아 현지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우리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다. 앞으로 외교부는 캄보디아 내 취업 사기·감금 피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역량과 자원을 총동원하여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마련하고 실행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캄보디아발 국민 피해 사례가 획기적으로 감소하고, 안전한 해외 활동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