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관광 산업의 침체 우려 속에서, 100만 년의 역사를 간직한 용머리해안은 여전히 제주의 숨겨진 보석으로 남아있다. 하지만 많은 제주 도민조차 그 가치를 온전히 알지 못하거나 방문 기회를 놓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제주의 독특한 지질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방문객들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못한 채 잠재적 가치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용머리해안은 제주를 대표하는 로컬100 유산으로서 그 이름값을 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물때와 날씨에 따라 출입이 제한되는 등 방문의 제약이 따른다. 매일 오전 9시부터 운영되는 관광안내소에 입장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미끄러운 지형으로 인해 편안한 신발 착용이 권장된다. 용머리해안은 제주 본토가 형성되기 훨씬 이전, 약 100만 년 전 얕은 바다에서 일어난 화산 폭발로 생성된 화산체다. 단일 분화가 아닌 간헐적인 분출로 인해 세 방향으로 쌓인 화산재 지층은 이 지역이 제주의 가장 오래된 땅임을 증명한다. 파도와 바람에 깎여나가고 다시 쌓이는 과정을 반복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이곳은, 사진이나 영상만으로는 그 웅장함을 담아내기 어렵다. 직접 마주했을 때 비로소 용암과 바다, 그리고 100만 년의 시간이 빚어낸 풍경에 압도당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검은 현무암과 옥색 바다가 어우러진 장관, 움푹 들어간 굴방과 넓은 침식 지대, 그리고 사암층과 해안 절벽은 제주의 태초 속살을 그대로 보여준다.
용머리해안을 둘러싼 지형은 진시황이 용의 기운을 끊기 위해 사자를 보냈다는 신화로도 유명하다. 산방산과 용머리해안의 기이한 지형은 이러한 신비로운 전설과 더불어 제주 최초의 땅으로서의 역사적, 지질학적 가치를 더한다. 거북손과 다양한 어패류가 붙어 있는 바닷가와 지역 할머니들이 좌판을 펴고 판매하는 해산물들은 제주의 삶과 자연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보여준다. 이처럼 웅장한 자연 앞에서 인간의 삶은 겸손해질 수밖에 없다.
용머리해안 방문과 함께 제주의 독특한 식문화를 체험하는 것은 빼놓을 수 없는 경험이다. 척박한 화산 땅에서 물과 곡식이 부족했던 과거, 제주 사람들의 삶을 지탱해 온 두 가지 주요 작물은 고사리와 메밀이었다. 다년생 양치식물인 고사리는 척박한 화산암에서도 튼튼한 뿌리를 내려 빗물을 저장하며 생존했고, 다양한 종류의 고사리가 제주의 생태계와 식재료의 시작을 이루었다. 독성이 있지만 삶아서 말려 독성과 쓴맛을 제거한 고사리는 제주 사람들의 귀한 식재료이자, 제사나 명절 음식에도 빠지지 않는 중요한 식재료였다.
이러한 제주만의 역사와 문화가 담긴 음식이 바로 ‘고사리해장국’이다. 논농사가 어려운 제주에서 돼지는 가장 친근한 가축이었으며, 돼지를 잡은 후 남은 뼈로 끓인 육수는 다양한 국의 기본이 되었다. 모자반을 넣으면 ‘몸국’, 뼈를 넣으면 ‘접작뼈국’, 그리고 고사리를 넣으면 ‘고사리해장국’이 완성된다. 육개장의 고사리가 소고기를 대신하듯, 제주 고사리해장국은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메밀가루와 함께 걸쭉하면서도 은은한 감칠맛을 선사한다. 메밀 전분으로 걸쭉해진 국물은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구수한 맛이 일품이며, 제주 사람들은 이러한 맛을 ‘베지근하다’고 표현한다. ‘베지근하다’는 고기 등을 푹 끓인 국물이 구미를 당길 정도로 맛있고 기름지면서도 담백해 속을 든든하게 채워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밥 한 공기를 말아 먹으면 죽처럼 되직해지는 고사리해장국은 입에 걸리는 것 없이 부드럽게 넘어간다. 제주의 거친 삶 속에서도 이토록 담백하고 유순한 맛을 만들어낸 제주 사람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유채꽃이 만발한 산방산 아래, 용머리해안이 그려지는 풍경 속에서 고사리해장국 한 그릇은 100만 년의 제주 땅을 관통하는 시간 여행을 선사한다. 자연과 인간, 그리고 그 모든 것을 감사히 여기는 마음이 ‘폭싹 속았수다(수고하셨습니다)’라는 제주 방언처럼 따뜻하게 와 닿는 경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