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처럼, 한때 온 국민의 취미였던 우표의 위상이 예전 같지 않다는 점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초등학생 시절, ‘우표 수집’이 가장 대중적인 취미로 여겨졌던 1990년대에는 기념우표 발행일에 맞춰 새벽부터 우체국 앞에 줄을 서는 진풍경이 연출될 정도로 우표의 인기는 뜨거웠다. 당시 우표는 빵 봉지에 포함된 스티커처럼 어린이들에게 큰 즐거움을 선사하는 존재였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손으로 쓴 편지가 점차 사라지고, 그와 함께 우표를 접하거나 우표 수집가를 찾아보기 어려워진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우표가 가진 본연의 매력과 가치를 퇴색시키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우표의 위상 저하라는 문제에 대응하여, 우정사업본부는 다양한 기념우표 발행을 통해 우표의 매력을 재조명하고 있다. 우표는 보관이 용이하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접근성이 높으며, 매년 새롭고 다채로운 디자인의 기념우표가 발행되어 수집의 재미를 더한다. 국내 우표 외에도 해외 발행 우표로 시야를 넓히면 수집의 폭을 무한히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충분히 매력적인 취미로서의 가능성을 지닌다. 우표는 크게 우편 요금 납부가 주목적인 ‘보통우표’와 특정 사건이나 인물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는 ‘기념우표’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기념우표는 정해진 발행 기간과 수량으로 인해 보통우표보다 희소성이 높아 수집가들의 관심을 끈다.
대한민국의 기념우표는 우정사업본부의 고시에 따라 매년 약 10~20회에 걸쳐 국내외 주요 행사, 인물, 자연, 과학기술, 문화 등 다채로운 주제로 발행된다. 2025년에는 총 21종의 기념우표 발행이 계획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가정의 달을 기념하여 ‘사랑스러운 아기’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나아가 우정사업본부의 공식 기념우표 외에도, 각 지방의 우정청이나 우체국, 지방자치단체 등은 지역의 고유한 특성과 가치를 담은 기념우표를 자체적으로 기획·제작하며 그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지난 2023년 11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1주년을 기념하여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업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집약적으로 담아내어 큰 호평을 받았다. 또한, 지난해 태백우체국이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올해 4월 양구군에서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는 강원의 청정한 자연을 담아내며 단순한 수집품을 넘어 지역 홍보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처럼 다양한 매력을 지닌 우표가 현재는 과거의 위상을 잃었지만,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다시금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존재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때 모두의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현대 사회에서도 누군가에게는 특별한 기쁨과 가치를 선사하는 취미로 자리매김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