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화장품 구매 시 마주하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작은 글씨로 빼곡하게 적힌 제품 정보의 낮은 가독성이었다. 특히 제품의 유의사항이나 소비기한 등을 확인하기 위해 패키지 뒷면을 꼼꼼히 살펴봐야 했지만, 복잡하고 작게 인쇄된 정보 때문에 내용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가 ‘화장품 e-라벨’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화장품 e-라벨’은 제품에 필수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정보를 디지털 라벨로 제공하는 정책이다. 기존에는 제품명, 영업자 상호, 내용물 용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모든 정보를 작은 글씨로 패키지 외부에 인쇄해야 했기에 소비자들의 정보 확인이 번거로웠다. 그러나 이제는 제품명, 영업자 상호, 내용물의 용량 및 중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과 같이 소비자가 자주 찾는 핵심 정보는 겉면에 비교적 큰 글씨로 표기하고, 안전 정보, 사용법, 보관법, 제품의 품질 특성 등 분량이 많은 추가적인 세부 정보는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재구성된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휴대폰 스캔만으로 필요한 정보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하며 확대되고 있다. 1차 시범 사업에서는 특정 브랜드 6개사의 19개 제품에 대해 운행한 결과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차 시범 사업에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다양한 제품군이 추가되어 총 13개사 76개 품목으로 확대되었다.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 e-라벨’ 도입은 소비자 편의 증진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포장 면적을 차지하던 작은 글씨가 줄어들면서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곧 포장지 자원 절약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더불어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까지 예정되어 있어, 앞으로는 더욱 많은 소비자들이 편리하고 쉽게 화장품 정보를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소비자는 더 이상 작고 읽기 어려운 글씨 때문에 불편함을 겪지 않고, QR코드 스캔 한 번으로 원하는 모든 정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