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6일은 자원순환의 날이다. 올해 환경부는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개설했지만, 일상 속에서 분리배출이 헷갈리는 상황은 여전히 많은 시민들이 겪는 어려움으로 남아있다. 폐기물을 제대로 분리하지 못해 재활용률이 낮아지거나, 오히려 불필요한 소각 및 매립으로 이어지는 문제는 자원순환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분명한 장애물이다. 이러한 분리배출의 혼란과 어려움은 시민들의 재활용 실천 의지를 저하시키고, 환경 보호라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더디게 만든다.
환경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wasteguide.or.kr)’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 누리집은 분리배출의 필요성과 재활용 과정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분리배출 개요’, 폐기물 종류별 및 주택 유형별 상세 분리배출 방법을 제공하는 ‘분리배출 방법 안내’, 지역별 분리배출 장소 및 관련 조례를 확인할 수 있는 ‘지역별 분리배출 안내’, 그리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Q&A를 담은 ‘고객지원’ 등 총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분리배출 개요’ 항목에서는 단순히 배출 방법만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골판지류, 유리병, 전지 등 다양한 재활용 가능 자원이 어떻게 처리되어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하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자신이 분리 배출한 폐기물이 단순한 쓰레기가 아니라 귀중한 자원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눈으로 확인하며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더욱 깊이 체감할 수 있다. 또한, 오염되거나 잘못 분류된 플라스틱 폐기물이 소각되거나 매립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시민들에게 정확한 분리배출에 대한 책임감을 부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누리집은 시민들이 실제 분리배출 과정에서 겪는 구체적인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일부로 오인하기 쉬운 조개류 껍데기, 핵과류 씨, 알·견과류·곡류·콩류·채소류 껍질 등이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처리되어야 한다는 정보와 복어 내장, 한약 및 차류 찌꺼기까지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분류해야 한다는 사실은 헷갈리기 쉬운 분리배출 정보를 명확하게 제공한다. 또한, 택배 송장이나 전단지와 같이 코팅된 종이의 분리배출 방법에 대한 혼란도 해소될 전망이다. 이 누리집은 골판지, 신문지, 백판지, 종이컵, 책자 등 종이류 분리배출 품목을 명확히 안내하고, 송장, 영수증, 색지, 종이호일, 전단지, 양면 코팅된 종이 등은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배출해야 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나아가 ‘지역별 분리배출 안내’ 항목을 통해 각 지자체 누리집으로 바로 연결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별 배출 시간, 장소, 종류, 그리고 과태료 부과 기준까지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였다. 이러한 상세하고 체계적인 정보 제공은 시민들이 분리배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인 재활용 실천으로 이어지게 할 것이다. 페트병을 압착 후 뚜껑을 닫아 배출하는 것이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더 많은 양을 실어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라는 ‘고객지원’ 항목의 Q&A는 사소하지만 중요한 재활용 실천 습관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의 적극적인 활용은 분리배출에 대한 시민들의 찝찝함을 해소하고, 나아가 효율적인 재활용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는 자원순환 사회 구현에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