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청년들이 겪는 근본적인 어려움 중 하나는 바로 자신만의 고유한 취향을 탐색하고 이를 현실 세계에서 마음껏 표현하며 나눌 기회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열린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이라는 특별한 공간을 통해 해소될 수 있었다. 이 행사는 2030 세대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되어,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청년들이 직접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을 제공했다.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이러한 청년들의 취향 탐구와 고민 나눔의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다층적인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1층 ‘탐색의 방’에서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의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발견하도록 유도했다. 이곳은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과 ‘야구’, ‘일러스트’, ‘서점’ 등 청년들이 공감할 만한 선택지를 통해 자신을 탐색하고 유형을 찾는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했다. 이 과정에서 청량한 슬러시 음료가 제공되어,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자신의 문화를 수집하는 여유로운 분위기를 더했다.
이어지는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며, 서로의 어려움에 공감하는 연결의 힘을 보여주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고민을 종이에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다른 사람이 작성한 답변이 담긴 종이를 받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했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와 같은 질문에 자신의 생각을 적으며, 타인의 고민을 마주하는 순간 ‘나만 힘든 것이 아니다’라는 안도감을 얻는 경험은 낯선 이의 답변이 곧 조언처럼 다가오는 강력한 경험이었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 활동으로 연결하는 장이 마련되었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가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수 있도록 전시대를 꾸몄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는 청년들이 정책을 제안하고 투표를 통해 의제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게 하며,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즉석에서 남길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청년들이 놓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함께 고민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청년들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영감을 제공했다.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라는 토크콘서트에서는 민음사 마케팅팀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준 작가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려주며, 책을 좋아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몰입할 수밖에 없는 흥미로운 시간을 선사했다. 이러한 현직자와의 만남은 청년들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청년들의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 성공적인 사례이다. 특히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경험은 청년 정책이 단순히 지원을 넘어 청년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포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이처럼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