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지역의 젊은 인구 구조와 높은 성장률, 그리고 적극적인 투자 유치 환경은 디지털 전환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전략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UAE는 중동 시장 진출의 관문으로서 한국 디지털 기업들의 해외 진출 수요가 매우 높은 국가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 속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중동 디지털 시장에 안착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에는 여전히 넘어야 할 과제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3일과 14일 이틀간 UAE 두바이에서 진행된 민관합동 중동 디지털 수출개척단 활동은 이러한 과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주두바이대한민국총영사관과 함께 67개 국내 디지털 기업과 함께 GITEX Global 및 GITEX Expand North Star에 한국 디지털 공동관을 운영하며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차세대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였다. 이는 지난 2023년 시작된 이후 세 번째로 진행된 행사로, 한국 디지털 기업의 혁신 역량을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판로를 확대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와 함께 개최된 한-중동 비즈니스 파트너십 행사에서는 5건의 수출 계약과 기업 간 MOU 체결을 통해 500만 달러 규모의 성과를 거두며 한국과 중동 간 디지털 협력의 높은 잠재력을 재확인했다. 특히 인피니트헬스케어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계약 체결, 웨이즈원의 실시간 교통정보 통합관리 솔루션 및 포시에스의 스마트 페이퍼리스 솔루션에 대한 MOU 체결은 양국 간 협력의 폭을 넓히는 성과로 평가받았다. 또한, 한-UAE AI 포럼에서는 AI 반도체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이 글로벌 AI 강국을 위한 혁신 동력이 될 것이라는 김득중 NIPA 부원장의 개회사와, AI 반도체가 AI 경쟁력의 근간이며 양국이 소버린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반드시 협력해야 할 분야라는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의 발언이 주목받았다. 김태호 노타AI CTO 역시 AI가 중동에서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실질적 도구로 활용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높은 관심을 이끌어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14일 현지 진출 기업을 지원하고 있는 UAE IT지원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중동 진출 기업들의 애로사항이 청취되며 정책적 지원 방향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우리 기업들이 중동 시장 진출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여전함을 시사한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지난 6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 이어 이번 중동 지역까지 수출개척단 활동을 통해 국내 AI·디지털 기업이 해외 홍보를 넘어 실질적인 계약 성과를 확대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도, 앞으로도 글로벌 AI·디지털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 정부가 해외 디지털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사업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한국 디지털 기업들의 중동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안착’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더불어 현지 시장에 대한 면밀한 이해와 전략적인 접근이 더욱 중요해질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