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기존보다 0.1%p 상향 조정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높아진 수치이며, 내년 성장률 전망 역시 1.8%로 유지하며 올해보다 대폭 높은 성장을 예상했다. 이러한 전망은 한국 경제가 내년에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IMF는 세계 경제 성장률을 올해 3.2%, 내년 3.1%로 각각 0.2%p, 0.1%p 상향하며 전반적인 회복세를 예측했다. 이러한 수정 전망의 배경에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신흥개도국 그룹 역시 올해 4.2%, 내년 4.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러한 글로벌 경제 회복세와 더불어 한국 경제의 성장률이 상향 조정된 것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IMF는 이러한 전망이 경제 주체들의 적극적인 적응력과 개선된 대외 여건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내년에 1.8%라는 높은 성장률을 전망한 것은 한국 경제가 침체 국면을 벗어나 재도약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
글로벌 물가 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면서, 경제 주체들이 물가 부담을 덜고 투자 및 소비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IMF는 세계 경제에 여전히 하방 위험이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이 주요 하방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가속화,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은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경제 역시 이러한 글로벌 경제 흐름 속에서 대외 여건 개선과 잠재 성장률 회복에 힘입어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