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87개국 세종학당에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K-문화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와 한글의 세계적인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K-팝, 드라마, 영화 등 한류 콘텐츠의 폭발적인 인기가 우리말과 글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에 기인한다는 점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문화적 파급력을 더욱 강화하고 미래 시대에 맞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국어와 한글을 K-문화의 원천이자 미래를 이끌어갈 언어이자 글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 총리는 한글이 창제 원리, 시기, 창제자가 명확히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로, 인류의 빛나는 지적 성취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한글이 백성을 향한 사랑과 포용, 혁신의 정신에서 탄생했다는 훈민정음 머리글의 내용을 언급하며 세종대왕의 숭고한 뜻을 되새겼다. 이는 단순히 문자를 넘어 한국인의 정신과 문화를 담고 있는 한글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문맹 퇴치를 위한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수여 등 국제사회에서도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김 총리는 정부가 한국어와 한글의 세계화를 위해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천명했다. 우선,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추진하여 내실을 다질 계획이다. 더 나아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더욱 쉽게 접하고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대폭 확대하고,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한국어 기반 언어 정보 자원 구축 확대는 미래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한글의 활용 범위를 넓히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은 ‘초격차 K-APEC’을 지향하는 막바지 준비와 맥을 같이 한다. 이번 APEC을 통해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은, 문화 외교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한국 문화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김 총리의 발언은 한글이 단순한 문자를 넘어 한국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고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핵심 동력임을 강조하며,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한국어와 한글이 전 세계인과 소통하는 매개체이자 문화 교류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