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 및 붕괴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은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심화되는 위기 상황 속에서 소방청은 급격하게 도래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를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기존의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확대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정부가 추진하는 과학기술 및 디지털 전환 기반의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라는 주요 국정과제와 맥을 같이하는 움직임이다.
이번에 신설된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 현장에서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 개발 및 기획 업무를 총괄한다. 더불어, 소방 정책 수립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 강화는 궁극적으로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을 확립하고,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적인 결정이다.
이는 지난달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5 아시아 기계 & 제조 산업전(AMXPO)’에서 관람객들이 현대로템 부스의 무인소방로봇에 깊은 관심을 보인 것과 같은 맥락에서, 미래 재난 대응을 위한 첨단 기술의 중요성을 방증한다. 소방청은 이러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재난 유형에 더욱 선제적이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인 소방정책이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며,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