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장의 생산성 향상과 안전 확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 모색이 시급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1회 산업 AI 엑스포’가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며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AI 솔루션들이 주목받았다. 지난 9월 4일부터 6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AI와 산업의 융합,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끌다’라는 주제 아래 국내 100여 개 기업이 참여하며 산업 AI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이번 엑스포에서는 ‘피지컬 온 디바이스 AI’가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제시되었다. ‘피지컬 온 디바이스 AI’는 하드웨어에 직접 탑재되는 AI 기술을 의미하며, AI 개발 환경을 위한 워크스테이션부터 휴머노이드, 제조 및 운송 로봇에 이르기까지 총 6가지 코스로 구성된 도슨트 투어를 통해 그 적용 사례가 생생하게 소개되었다. HP 코리아는 고성능 CPU와 GPU를 탑재한 데스크톱과 영상 텍스트 인식 기술을 선보이며 AI 개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모빌린트는 기존 GPU보다 AI 연산에 훨씬 최적화되어 전력 비용을 60% 절감할 수 있는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선보이며 효율적인 AI 구현 가능성을 제시했다.
로봇 분야에서는 에이 로봇의 휴머노이드 로봇 ‘에릭스’가 주사위 게임과 물통 전달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며 인간과 유사한 기능을 선보였다. 클레비는 초거대 언어 모델 기반 AI를 드론과 로봇에 적용하여 사람의 동작을 인식하고 복제하는 시연을 통해 AI의 높은 활용도를 입증했다. 가이드는 사람이 활동하는 산업 현장에 즉각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잠재력을 언급했으나, 배터리 문제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는 로봇 팔과 같은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덧붙여 현실적인 과제를 제시했다.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AI 기술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 공정에서는 로봇 팔에 들어가는 AI를 개발하는 스포티가 평면뿐 아니라 곡면에서도 나사를 맞추는 기술을 시연하며 소량 맞춤 생산 시스템에 적합한 AI의 뛰어난 대처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농업 현장에서는 블루베리를 운송하는 로봇 ‘일로’가 소개되며 AI가 농업 분야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대안임을 제시했다. AI는 더 나아가 디지털 트윈 기술과 결합하여 제조 전 과정에서 생산 부품을 최적화하고, 품질을 예측하며, 안전 사고를 미리 파악하는 데 활용되어 보다 정확한 예측과 사고 예방에 기여하고 있다. 사무실에서 공장의 모든 설비를 가상공간으로 구현한 디지털 트윈을 통해 실시간 생산 상태와 불량 이미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 점은 AI가 가져온 편리함의 대표적인 예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산업 AI의 발전은 ‘제1회 산업 AI 엑스포’를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려는 대한민국의 노력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9월 8일 출범한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는 ‘대한민국 AI 액션플랜’ 수립을 통해 AI를 국가 전략 기술로 육성하고, 인간의 판단을 돕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AI 기술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힘껏 펼쳐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산업 AI의 발전은 국가 경쟁력 강화와 미래 사회의 혁신을 이끄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