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경제가 0.9% 성장할 것이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이 나왔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상향된 수치로, 경기 둔화라는 ‘문제’에 직면한 한국 경제에 다소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특히 IMF는 내년 한국 경제가 올해보다 대폭 높아진 1.8%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우리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번 IMF의 전망 발표는 세계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이 높아졌다는 판단에 근거하고 있다. IMF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 조치, 재고 조정과 무역 경로 재편을 통한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을 고려하여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 성장률은 3.1%로 유지했다. 이러한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한국 경제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된다.
IMF는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을 1.6%로, 내년 성장률도 1.6%로 예측했다. 또한,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 상향된 2.0%, 2.1%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경우 올해 4.2%, 내년 4.0% 성장이 예상되었으며,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에 힘입어 올해 4.8%, 내년 4.2%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 요인이 여전히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 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와 달리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화,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IMF의 이번 전망은 한국 경제가 당면한 어려움 속에서도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를 담고 있다. 특히 내년 1.8% 성장률 전망은 침체된 경기를 끌어올리고 경제 활력을 되찾기 위한 정책적 노력과 맞물려 긍정적인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