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내년에는 1.8%로 상향 조정하며 한국 경제의 더딘 성장세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였던 올해 0.8%, 내년 1.8%에서 소폭 개선된 수치다. IMF는 이러한 전망의 근거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이 양호하며 달러 약세가 영향을 미친 점 등을 들고 있다. 하지만 0%대 성장률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분석 속에서, 내년 1.8% 성장이라는 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IMF는 세계 경제 전체적으로 올해 성장률을 3.2%로, 내년에는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 흐름 속에서 한국 경제는 올해 0.9% 성장이라는 다소 부진한 전망치를 받았다. 하지만 IMF는 이를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상향한 수치이며, 특히 내년 성장률을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로 예측하며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을 내다보고 있다. 이는 한국 경제가 당장의 어려움을 딛고 내년에는 의미 있는 반등을 이뤄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한편,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성장률을 0.1%p씩 상향 조정하여 각각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개도국 그룹은 올해 성장률을 0.1%p 높여 4.2%로 전망했으며, 내년에는 4.0%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이 무역 불확실성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며 4.8%와 4.2%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IMF는 여전히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이 제시되었다. 다만, IMF는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국이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하며 AI 도입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경우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이러한 국제적인 경제 환경 속에서 한국 경제가 0%대 성장 우려를 극복하고 내년 1.8% 성장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