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지속된 내수 침체는 소상공인과 지역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를 촉진하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기획된 ‘동행축제’가 9월 한 달간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을 기록하며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가 향후 소상공인 경제에 어떤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온라인 판매전과 오프라인 판매전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통해 직접적인 매출 증대뿐만 아니라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 판매를 활성화하여 내수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는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이 발생했으며,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이 판매되어 소비 심리 회복에 기여했다.
특히 온라인 판매전은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는 등 대규모로 진행되었으며,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630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증가한 67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또한,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주목받았다.
오프라인 판매전 또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번 축제는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 감소 지역의 상권 및 소비자 접점을 넓히기 위해 해당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렸으며, 전체 행사 144곳 중 76%에 달하는 110곳이 비수도권에서, 24%인 34곳이 인구 감소 지역에서 진행되었다. 제주 개막식에서는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를 진행하며 1만 8000명의 방문객을 모았고, 8월 30일부터 9월 5일까지 진행된 판매전에는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해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이 중 8개 업체는 첫날 완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에서는 9월 9일부터 11일까지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온누리상품권 증정 이벤트를 통해 대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유통 구조를 마련했다.
이와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소비 활성화에 기여했다. 5만 원 이상 카드 결제 시 추첨을 통해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는 1000만 명이 응모했으며,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또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특별 혜택을 제공하거나 캐시백 및 할인 혜택을 강화하는 등 골목상권 활성화에 적극 동참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연계 포장 주문 할인 쿠폰을 발급했으며, 집중호우 피해 지역 가게에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추가로 제공하며 지역 상권 회복을 지원했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열릴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양한 소비 혜택을 제공할 예정임을 밝혔다. 이번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개최는 일시적인 소비 진작 효과를 넘어, 향후 정부가 추진할 국가 단위 할인 축제를 통해 소상공인과 지역 경제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