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된 각종 통계는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 구조가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부동산에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기준 주요국 구매력평가환율 가구당 순자산 통계에서 우리나라는 62만 달러(약 8억 4800만 원)로 일본의 52만 2000달러(약 7억 1400만 원)보다 많았고, 시장환율 기준 가구당 순자산 역시 44만 3000달러(약 6억 6000만원)로 일본(42만 1000달러, 약 5억 7600만원)보다 앞섰다. 언뜻 보면 우리나라 가계가 일본 가계보다 부유해 보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계의 이면에는 심각한 자산 불균형 문제가 숨어 있다.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75%는 부동산이 차지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은 25%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 세대의 경우 이 비율은 더욱 심화되어 80~90%가 부동산에 묶여 있다. 이는 자산의 60~70%를 금융자산으로 보유하고 부동산 비중은 30~40%에 그치는 일본이나 미국의 자산 구조와 정반대되는 현상이다. 즉, 우리나라 가계는 자산 대부분을 부동산에 보유하고 있어,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통계상으로는 부유해 보일 뿐 실제 자산 유동성이나 안정성 측면에서는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부동산 편중 자산 구조는 향후 우리나라 가계의 노후 대비에 심각한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본의 경우, 수십 년간 이어진 인구 감소, 고령화, 경제 불황 등으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장기 하락세를 경험한 바 있다. 남한의 토지 면적 대비 토지 자산 규모는 일본과 비슷한 수준으로, 땅 한 평당 가격이 일본의 네 평 가격과 맞먹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는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는 것을 시사하며, 향후 일본과 유사한 경제적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이 가계 자산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1980년대 후반 일본의 극심했던 부동산 버블 붕괴를 경험했던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일본의 사례를 볼 때 고령화와 인구 감소는 부동산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온다. 과거 내 집 마련에 대한 집착이 강했던 일본 사회는 점차 ‘집은 빌려 사는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금융자산을 활용한 다른 투자처를 모색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여전히 적은 금융자산으로도 과도한 부채를 안고 주택을 구입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며, 베이비붐 세대의 내 집 마련 수요 또한 곧 정점에 달할 것이라는 점이다. 여기에 저출산, 고령화 추세가 일본보다 더욱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의 부동산 중심 자산 구조는 10~20년 후 노후 생활에 심각한 위험 신호등을 켤 수 있다.
따라서 노후 대비 자산 관리의 핵심 원칙은 자산의 분산이다. 강창희 행복100세 자산관리연구회 대표는 “갖고 있는 재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다면 부동산의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려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퇴직 무렵에는 최소한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중을 절반 정도로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과도한 부채를 안고 주택을 구입하는 행위는 특히 경계해야 할 부분으로, 이러한 원칙 준수가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