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규모의 입국자 수 기록을 경신하며 대한민국이 글로벌 관광대국으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성장을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고, 관광산업이 국가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과제가 남아있다. 특히 콘텐츠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행과 제도를 넘어서는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 9월 25일 개최된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핵심 방안으로 ‘과감한 규제개혁’을 제시했다. 이는 단순한 관광객 유치를 넘어, 한국의 다채로운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 상품 개발과 이를 통한 지역 경제의 실질적인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정책들은 그동안 관광 산업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해왔던 불필요한 규제들을 철폐하고, 콘텐츠와 관광, 그리고 지역 경제가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번 규제개혁은 입국 3천만 시대를 맞아 더욱 중요해진 글로벌 관광 경쟁력을 강화하고, 한국만의 매력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관광객들은 단순히 방문하는 것을 넘어 한국의 문화와 예술, 그리고 지역 특색을 깊이 체험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러한 경험은 다시금 새로운 콘텐츠의 영감이 되어 한국 관광의 매력을 더욱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관광객 증가는 지역 상권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직결되어, 지역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만약 이러한 규제개혁이 성공적으로 이행된다면, 한국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관광대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콘텐츠와 관광, 그리고 지역 경제 간의 유기적인 연결은 국가 경제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며, 이는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제시된 과감한 규제개혁은 한국 관광의 미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