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가 존재하는 근원적인 물음, 즉 ‘생명의 본질은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을 예술로 탐구하는 장용선 작가의 개인전이 현재 매스갤러리 청담과 한남에서 동시에 진행 중이다. 이번 전시는 오는 10월 28일까지 열리며, 작가는 다양한 조형 언어를 통해 미시적인 세포에서부터 거대한 우주까지 아우르는 생명의 연속성과 그 근원을 시각화한다.
이번 전시가 기획된 배경에는 ‘생명의 본질’에 대한 작가의 깊은 사유가 자리 잡고 있다. 장용선 작가는 자신의 작업 노트를 통해 “나의 작업은 ‘생명의 본질’은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단순히 물질적인 존재를 넘어, 생명이 어디에서 기원하고 어떻게 확장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탐구를 보여준다.
작가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세포’라는 생명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조형 언어로 삼았다. 천체 물리학자들이 우주에 존재하는 행성, 암흑물질, 암흑에너지에서 생명의 기원을 찾고, 우리 몸을 이루는 분자들의 모태가 우주에 있음을 이야기하듯, 장 작가는 이러한 과학적 사실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의 작업은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미생물에서부터 거대 행성까지, 생명이 도처에 존재함을 인지하고 그 ‘생명의 본질’을 탐구하는 과정으로 해석된다.
특히, 작가는 절단된 파이프의 단면을 세포의 형상으로 치환하고, 이러한 미세한 단위들이 모여 하나의 군집을 이루고 더 나아가 우주를 떠도는 행성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형상화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미시와 거시, 개인과 우주, 생과 사를 동시에 품는 작업을 선보인다. 작은 세포의 진동이 곧 은하의 리듬이 되고, 초신성의 폭발은 죽음과 탄생이 맞닿은 경계에서 새로운 흔적을 남긴다는 인식을 예술적으로 풀어낸 것이다.
매스갤러리 청담에서는 연속성과 흐름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작업들을 통해 작은 조각들이 모여 하나의 구조를 이루고, 존재의 기원이 미세한 단위로부터 출발하여 서로를 지탱하고 연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매스갤러리 한남에서는 작가 내면의 감각에 집중하며 일상적 감각으로는 관찰할 수 없었던 생기를 스테인리스 스틸이라는 물성을 통해 탐구한다. 영원에 가까운 이 재료에 연마와 용접 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다채로운 색들은 극지방의 오로라 같기도 하고, 그을린 자국 같기도 하며, 이는 특정한 물성과 기법의 상호 관계 속에서 탄생하는 새로운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장용선 작가의 작품은 ‘생명’이라는 주제를 과학적 관점과 예술적 감성을 결합하여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작가가 포착한 세포와 행성, 빛과 어둠의 알레고리는 겉으로 드러난 이야기와 숨겨진 상징적 의미를 통해 관람객으로 하여금 ‘우리가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향하는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게 한다. 작가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명의 본질’에 대한 답을 예술적 조형언어로 제시하며, 관람객들에게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