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에도 집을 나서는 어머니, 길을 잃는 일이 잦아지는 증상들은 고령화 사회가 드리우는 치매라는 그림자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는 치매는 개인의 기억뿐만 아니라 가족의 일상까지 송두리째 흔드는 고통스러운 현실이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는 우리 사회에서 치매 환자 수는 2030년 1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등, 치매로 인한 사회적 부담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 속에서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치료비 부담을 덜고 돌봄 서비스와 예방 교육을 확대하며 치매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는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가장 먼저 의지할 수 있는 전국 256곳의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곳에서는 무료 검진, 인지 재활, 가족 상담, 환자 돌봄 지원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생활 방식, 가족 구조, 소득 수준 등을 고려한 맞춤형 사례 관리 모델이 전국으로 확대되어 더욱 세밀한 돌봄이 가능해졌다. 또한, 기존 인지지원등급 환자에서 장기요양 5등급 환자까지 쉼터 운영 대상을 넓혀 보호자들의 돌봄 부담을 실질적으로 경감시키고 있다. 이는 24시간 돌봄의 고통을 호소하는 많은 가족들에게 큰 위안이 되는 변화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은 개인의 작은 불편함에서 시작되는 치매 관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기자의 경험처럼, 일상생활에서 겪는 사소한 건망증이라도 초기에 발견하고 치매안심센터와 같은 제도적 지원망과 연결된다면 치매는 충분히 관리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실제로 기자는 경도인지장애 전 단계 진단을 받은 후 치매안심센터와 연계된 병원에서 약물 치료를 통해 깜빡임 증상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경험을 했다. 이는 치매가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질환이 아니라, 작은 신호들을 놓치지 않고 관리할 때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현장에서 만난 돌봄단 관계자는 단순한 활동으로도 환자와 가족에게 큰 힘이 된다고 말하며, 지역 주민들과 함께 ‘치매 안전망 지도’를 만들어 돌봄 공백을 메우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치매 예방과 관리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최근 도입된 ‘오늘건강’ 앱은 약 복용 알림, 인지 퀴즈, 두뇌 훈련, 걸음 수 및 수면 패턴 기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필요시 치매안심센터와의 데이터 연동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가족들은 부모님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이상 징후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 복지관 이용자들은 앱을 통해 머리가 맑아지는 느낌을 받는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다만, 농촌 지역이나 독거노인의 디지털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 보급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는 과제도 남아 있다. 치매안심센터 관계자는 조기 검진과 인지 강화 프로그램이 발병 억제에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하며, 보호자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상담 및 가족 휴식 제도 강화에도 힘쓰고 있음을 밝혔다.
치매는 개인이나 가족만의 싸움이 아닌, 사회 전체가 함께 풀어가야 할 숙제다.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장애인을 위한 설문형 평가 도구를 도입하는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더욱 많은 국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재정 여력이 부족한 농어촌 지역의 서비스 접근성 저하와 돌봄 인력 부족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 전체가 치매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려 한다는 사실 자체가 환자와 가족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매년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은 치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국민 모두가 연대해야 할 필요성을 되새기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치매와도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국가적 책임이 결합될 때, 우리는 기억을 지키는 일, 즉 인간다운 삶을 지키는 일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