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글씨로 빼곡했던 화장품 정보가 모바일 스캔 한 번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한 ‘화장품 e-라벨’ 사업이 시범 사업을 확대하며 소비자 편의 증진에 나섰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의 등장은 소비자들이 화장품 정보를 파악하는 데 겪었던 불편함과 정보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이전까지 화장품 패키지에는 제품명,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필수 정보뿐만 아니라 보관법, 성분 정보 등 방대한 내용이 작은 글씨로 인쇄되어 소비자들이 정보를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특히 시력이 좋지 않거나 복잡한 정보 습득에 어려움을 느끼는 소비자들에게는 큰 장벽으로 작용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화장품 e-라벨’ 사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이 사업은 제품의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소비자는 제품 패키지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스마트폰으로 화장품의 상세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품명, 영업자 상호, 내용물의 용량 및 중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찾는 핵심 정보는 글자 크기를 확대하여 가독성을 높이고, 안전 정보, 사용법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QR코드 안에 압축시켜 담았다. 이는 소비자가 제품 정보를 더욱 명확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제조사 입장에서도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여 포장지 자원을 절약하는 친환경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하며 점차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1차 시범 사업 당시 6개사 19개 제품에 대해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받은 후,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제품군을 대폭 확대하여 13개사 76개 품목으로 늘렸다. 이러한 확대를 통해 소비자들이 더욱 다양한 제품에서 e-라벨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취약계층을 고려하여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도 예정되어 있어, 정보 접근성을 한층 더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은 피부에 직접 닿는 민감한 제품인 만큼,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쉬운 정보 제공은 필수적이며,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소비자와 제조사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