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전망되면서 녹조 발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사전 예방, 사후 대응, 관리체계 강화라는 3대 추진 전략과 10대 추진 과제를 포함한 ‘2025년 녹조 중점관리 방안’을 발표하며 선제적인 대응에 나섰다. 특히, 이번 방안은 녹조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되는 토지계 오염원 관리와 녹조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환경부가 이번 녹조 중점관리 방안을 발표하게 된 배경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과 더불어 하천으로 유입되는 다양한 오염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특히, 하천변이나 제방에 방치되거나 부적정하게 관리되는 야적퇴비는 비가 올 경우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어 수질 오염과 녹조 발생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이에 환경부는 올해 전국 주요 수계를 대상으로 야적퇴비 실태를 전면적으로 파악하고, 조사된 1,500여 개의 야적퇴비에 대해 수거·이전 또는 덮개 설치 등 집중 관리를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여 야적퇴비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사전 예방 활동을 독려할 방침이다.
더불어, 가축분뇨 관리를 강화하여 영양염류 유입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축분 처리를 다변화하기 위해 고체연료 제조 및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을 확충하고, 관련 제도 정비를 통해 생산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하수 미처리 구역에서 발생하는 개인하수를 줄이기 위해 마을하수 저류시설 설치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자체 분뇨 수거가 어려운 상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는 정화조 공공관리도 시행한다.
이와 함께, 녹조 발생 빈도가 높거나 오염 배출이 많은 지역을 중점관리 지역으로 지정·관리하는 방안도 확대된다. 올해는 특히 봄철 산불이 발생한 임하댐·남강댐 권역을 추가로 지정하여 공공하수처리시설, 가축분뇨처리시설 등 점검을 강화하고, 법정 기준보다 강화된 총인 기준 충족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대한 지원을 통해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이러한 사전 예방 노력과 더불어, 녹조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사후 대응을 위한 전략도 마련되었다. 홍수 쓰레기, 산불 잔재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임하댐 하류 등 주요 하천 지점 52곳에 오탁방지막이 설치된다. 또한, 녹조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녹조 제거 설비가 확대 배치된다. 녹조제거선은 작년 28대에서 7대 증편된 35대를 운영하며, 특히 취수원 근처에 우선 배치하여 취수원을 안전하게 관리할 계획이다. 수상 퇴치밭 설치 확대와 함께 다양한 녹조 제거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효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하천 시설 연계 운영을 통한 녹조 저감 방안도 강화된다. 댐, 보, 하굿둑의 가용 수량과 유량을 활용한 연계 운영을 강화하며, 특히 낙동강 본류의 유량 및 방류량과 조류 저감 효과를 평가한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댐·보 방류 시간을 앞당기는 등 시범사업을 통해 녹조 대응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먹는 물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해 취수장 조류차단막 설치, 녹조 대응 준비 실태 점검, 활성탄 및 오존을 활용한 표준 및 고도 정수 처리 강화 등도 추진된다.
관리체계 강화 측면에서는 녹조대응상황반을 구성하여 관계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6월에는 관계기관 합동 녹조 모의훈련을 실시하여 대응 및 협조체계를 점검한다. 지역사회 인접 지역의 모니터링도 강화된다.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공기 중 조류독소에 대한 객관적이고 투명한 조사를 실시하며, 녹조 발생 빈도가 높은 8~9월에 공기 중 및 비강 내 조류독소 조사를 위한 용역 절차를 추진 중이다. 또한, 봄철 산불이 발생한 임하댐과 남강댐 권역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이상 징후 포착 시 신속하게 유관기관에 알리고 대응할 예정이다. 제4차 비점오염원 종합대책 등 중장기 관리계획 수립도 병행된다.
기후변화와 산불이라는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가 녹조 관리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지만, 환경부는 사전에 통제 가능한 인위적 오염원을 집중 관리하여 녹조를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강화된 사후 대응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