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폭우 속에서 몸과 마음이 지쳐가는 올여름, 일상을 벗어나 새로운 활력을 찾고자 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막상 현실적인 제약으로 긴 여행을 떠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집 근처의 독립서점이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일환으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시민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과거 주로 도서관에서 진행되던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올해는 독립서점이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확장되며 주목받고 있다. ‘가가77페이지’는 SNS를 통해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의 신청자를 모집했으며,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참석자들에게 양질의 콘텐츠와 함께 특별한 여름날을 약속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인문학이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친숙한 영화를 통해 철학, 문학 등 다양한 인문학적 주제에 깊이 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가가77페이지’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생각의 밭과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이라며,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영화라는 매개를 통해 쉽고 흥미롭게 풀어내고자 했다.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 관람가로 영화를 선정하여 더 많은 분들이 함께 인문학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고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처럼 ‘가가77페이지’는 단순한 책 판매 공간을 넘어, 지역 주민들이 문화적으로 교류하고 성장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을 확장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1회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함께 관람한 후,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이라는 주제로 심도 있는 강연과 토론이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은 영화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과 같은 명대사를 통해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박근주 씨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었다”며, “일상의 반복에서 벗어나 함께 참여하는 사람들과 소통하며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는 기대를 나타냈다.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시대에 인문학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고 있다. 이상명 대표는 “AI가 발전할수록 인문학적 사고 체계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며, “인문학은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도덕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근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책방 운영의 어려움 속에서도 ‘가가77페이지’를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들고자 하는 그의 의지는 지역 문화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높인다.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처럼,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전국 곳곳에서 지역 문화와 책, 사람을 잇는 새로운 독서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에서 펼쳐지는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무더운 여름날, 지친 시민들에게 생각의 즐거움과 삶의 깊이를 더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