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기간에 준비한 풍성한 음식들이 남는 것은 흔한 일이다. 특히 푸짐하게 차려진 명절 상차림 후 냉장고에 남은 갈비찜, 잡채, 전 등은 다음 끼니를 고민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 남은 음식들을 단순하게 데워 먹는 것을 넘어, 색다른 요리로 재탄생시켜 명절의 풍미를 더욱 길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명절 음식 활용의 첫 번째 해결책으로 ‘갈비찜 잡채볶음밥’과 ‘전 두루치기’가 제시된다. 이는 명절의 상징과도 같은 갈비찜과 잡채, 그리고 남은 전을 활용하여 가정에서 쉽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요리법이다. 특히 갈비찜의 경우, 과거에는 매우 귀한 음식으로 여겨져 명절에나 맛볼 수 있었다는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60, 70년대 신문 기사에서도 명절만 되면 갈비가 품귀 현상을 겪었다는 기록을 찾아볼 수 있으며, 잘 사는 집을 묘사할 때 ‘갈비를 쟁여놓고 사는 집’이라는 표현이 사용될 정도였다. 이러한 갈비는 구이와 찜 두 가지 방식으로 즐겨왔는데, 찜은 집에서 만들어 먹는 방식이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야 돼지갈비찜을 소갈비 대용으로 먹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갈비찜은 특별한 기술 없이도 집에서 충분히 만들 수 있는 요리다. 간장, 설탕, 마늘, 양파, 파, 후추, 술을 기본으로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냉장 숙성시킨 후 푹 끓이면 된다. 무와 당근을 추가하면 더욱 풍성한 맛을 낼 수 있으며, 압력솥을 활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갈비찜은 명절이 끝난 후에도 그 맛을 유지하며, 남은 뼈나 살점을 추려내 소스와 함께 볶음밥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다. 밥, 고추장 반 큰 술, 잡채, 김가루만 있으면 근사한 ‘갈비찜 잡채볶음밥’이 완성된다. 이때 식용유를 따로 넣지 않아도 갈비소스와 잡채에 이미 기름기가 충분하기 때문에 맛의 풍미가 더해진다.
명절 음식 활용의 또 다른 제안은 ‘전 두루치기’다. 명절 음식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전 역시 남기 쉬운 음식 중 하나다. 이를 활용한 두루치기는 조림이나 볶음과 유사하면서도 즉석 요리 느낌이 강한 메뉴다. 잘 익은 김치, 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 캔 참치, 치킨스톡 등을 재료로 활용한다. 냄비에 기름을 두르고 파와 마늘을 볶다가 캔 참치와 물, 치킨스톡을 넣고 끓인다. 여기에 적당한 크기로 자른 김치와 전을 넣고 고춧가루를 더해 끓이면 두루치기가 완성된다. 특히 두부전이 남았다면 두루치기에 넣었을 때 더욱 맛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전에서 우러나오는 기름 덕분에 국물이 진하고 깊은 맛을 내며, 마무리로 국간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맞추면 좋다.
이처럼 명절에 남은 음식들은 버려지기 쉬운 재료가 아니라, 새로운 요리로 창조될 수 있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지닌 식재료가 된다. 이러한 음식 재활용 요리는 풍요로웠던 명절의 맛과 기억을 이어가는 동시에, 식재료 낭비를 줄이는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다.
◆ 박찬일 셰프
셰프로 오래 일하며 음식 재료와 사람의 이야기에 매달리고 있다. 전국의 노포식당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소개하는 일을 오래 맡아 왔다. <백년식당> <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등의 저작물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