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 ‘청년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지 수년이 흘렀으나, 여전히 많은 청년은 이 날을 어떻게 의미 있게 보내야 할지에 대한 막연함이나, 획일적인 행사들에 대한 기대를 넘어선 현실적인 고민을 안고 있다. 청년의 권리 증진과 자립, 성장을 응원하기 위한 취지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이나 공감대 형성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올해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청년주간’은 이러한 고민을 해소하고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들을 제공하며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일방적이고 딱딱하게 느껴졌던 행사들과 달리, 올해 청년주간은 진로, 창업, 문화, 심리, 관계, 자기 계발 등 청년들이 현재 삶에서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고민과 관심사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었다. 이는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기획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행사 정보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누리집 내 ‘청년정책’ 또는 ‘청년센터’ 메뉴를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지자체 공식 SNS 계정에서도 최신 소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 ‘청년의 날’ 또는 ‘청년의 날 + 지역명’을 검색하는 것 역시 유용한 정보 탐색 방법으로 제시된다.
올해는 특히 지역별 특색을 살린 개성 있는 프로그램들이 다수 마련되어 눈길을 끈다. 서울 은평구에서 개최된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서는 김태호 PD의 강연이 진행되어 미디어 분야에 관심 있는 청년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9월 18일 평일 저녁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무한도전>, <놀면 뭐하니?> 등을 연출한 김태호 PD의 강연을 듣기 위해 많은 청년이 객석을 가득 메웠다. 김태호 PD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콘텐츠 기획 및 전달 방식에 대한 통찰을 공유했으며, 이는 같은 미디어 산업 분야를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 또한, 이 강연은 수어 통역을 함께 제공하여 정보 접근성을 높였으며, 이는 모든 청년이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포용적인 행사 운영의 좋은 예시로 평가된다.
이러한 행사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청년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을 하고, 같은 길을 가는 동료들과 소통하며 위로와 격려를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작년 ‘청년의 날’ 즈음 박위 씨의 강연을 통해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미디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영감을 얻었던 경험처럼, 올해 김태호 PD의 강연 또한 청년들이 ‘무엇을 좋아하고 왜 그 일을 하고 싶은지’를 다시 한번 되새기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은 이제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현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이 잠시 멈춰 자신을 돌아보고,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며, 다양한 고민을 공유하고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앞으로도 각 지역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강연과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청년들은 자신만의 소중한 추억과 의미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진로에 대한 불안감이나 막막함을 느끼는 청년, 혹은 새로운 영감을 얻고자 하는 청년이라면 ‘청년의 날’ 행사에 적극적인 참여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