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꽃가루를 옮기며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이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9월 7일 ‘곤충의 날’을 맞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개최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은 곤충의 생존 위기가 곧 우리의 생존 위기임을 명확히 보여주며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기획전은 약 4억 년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하며 놀라운 적응력으로 다양성을 확장해 온 곤충의 역사를 소개한다. 단단한 외골격으로 자신을 보호하고 변태라는 독특한 과정을 통해 환경 변화에 적응해 온 곤충은 현재 지구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이러한 곤충조차도 기후변화 앞에서는 속수무책이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이동하면서 개체 수가 급감하는 현상이 속출하고 있으며, 이는 생태계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시는 이러한 곤충의 변화를 인류를 향한 경고로 해석한다. 기후변화의 생물지표종으로 선정된 8종의 곤충 변화를 통해 현재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 등은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기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오히려 서식지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반면,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와 같은 종은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에 처해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미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 곤충들에게 닥친 현실이다. 조선시대 그림에서도 흔히 볼 수 있었던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의 감소로 인해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인한 유충 생존율 감소로 멸종 위기에 직면했으며, 한국 고유종이라는 점에서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적으로도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되는 더욱 중요한 생물이다.
이러한 곤충 생태계의 위협은 궁극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에서 비롯된다.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이는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삼고 있다. 탄소중립은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 각자의 일상에서도 실천될 수 있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 속 작은 실천들이 모여 기후 행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의 이번 기획전은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의 삶에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10월 26일까지 이어지는 전시를 통해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 한번 되새기고, 각자의 자리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