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만큼이나 우리 생활도 빠르게 변화하며, 과거 당연했던 것들이 점차 낯설어지고 있다. 특히, 아날로그 감성이 깃든 우표 수집이라는 취미는 이제 많은 사람들에게 잊힌 과거의 유물이 되어버린 듯하다. 초등학생 시절, 친구에게 받은 편지와 함께 책상 서랍 깊숙한 곳에서 우표로 장식된 책받침을 발견한 것은, 이러한 시대 변화 속에서 잃어버린 소중한 추억과 우표가 지닌 본질적인 가치를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된다. 1990년대만 하더라도 ‘우표 수집’은 어린아이들에게도 익숙한 취미였으며, 기념우표 발행일에는 우체국 앞에 새벽부터 줄을 서는 풍경이 펼쳐질 정도로 그 인기는 대단했다. 이는 마치 최근 몇 년간 유행했던 캐릭터 스티커 모으기와 같은 당시의 대중적인 문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시대가 흐르고 손 편지가 자취를 감추면서, 우표를 접할 기회 또한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우표 수집가 역시 찾아보기 어려워진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표 수집은 여전히 충분히 매력적인 취미로서 그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 우표는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부담 없이 컬렉션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매년 새롭고 다채로운 디자인의 기념우표가 발행되어 수집의 즐거움을 더한다. 국내 우표만으로는 만족하기 어렵다면, 해외에서 발행되는 이국적인 우표로 시야를 넓혀 무한한 확장의 재미를 누릴 수도 있다.
우표는 그 쓰임새에 따라 크게 ‘보통우표’와 ‘기념우표’로 나눌 수 있다. ‘보통우표’는 우편 요금 납부를 주목적으로 하며, 소진되는 만큼 지속적으로 발행되는 반면, ‘기념우표’는 특정 사건이나 인물, 문화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며 발행량과 기간이 정해져 있어 희소성을 갖는다. 대한민국에서 발행되는 기념우표는 우정사업본부의 고시에 따라 매년 약 10~20회에 걸쳐 다양한 주제로 선정되어 발행된다. 예를 들어, 2025년에는 총 21종의 발행이 계획되어 있으며, 가정의 달인 5월 8일에는 ‘사랑스러운 아기’를 주제로 한 기념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우정사업본부 외에도 지역의 우정청이나 우체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도 지역 특색을 살린 기념우표를 자체적으로 기획하고 제작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지난 11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1주년을 기념하여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력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낸 기록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태백우체국에서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양구군에서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는 지역의 아름다운 자연을 담아내며 단순한 수집품을 넘어 지역 홍보 수단으로서의 가치까지 인정받았다. 이처럼 다양한 매력을 지닌 우표가 현재 그 위상을 잃어가고 있다는 점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다. 한때 많은 이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던 우표가, 다시금 현대 사회에서 누군가의 새로운 즐거움과 흥미를 선사하는 매개체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
강원지방우정청 회계정보과 소속으로 2022년 공직문학상 동화 부문 은상을 수상했다. 우체국 업무를 수행하며 느낀 감정들을 동화로 옮겨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현재 우편물과 택배가 사라져가는 시대이지만, 여전히 우체국에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담긴 우편물과 택배들이 가득하며, 이 속에서 발견하는 수많은 이야기를 동화로 풀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