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은 오랜만에 가족들이 모여 정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이다. 하지만 이러한 명절 기간은 평소보다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이 급증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명절마다 넘쳐나는 음식물 쓰레기는 환경 문제뿐만 아니라 막대한 경제적 손실까지 야기하며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고질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환경공단이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캠페인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감량에 나선다.
이번 캠페인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음식물 잔반을 의식적으로 줄이고, 낭비 없는 음식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무선인식(RFID) 종량제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행사 포스터의 큐알 코드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 인쇄 번호를 입력하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캠페인 참여자들은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분석받고, 평상시 배출량과 비교하여 감량에 성공한 50세대를 추첨해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에서 발생하는 하루 음식물 쓰레기는 약 1만 4천 톤에 달하며, 이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한다. 또한 음식물의 7분의 1이 버려져 연간 20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 속에서 RFID 종량제 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 감량에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RFID 배출기는 사용자가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그만큼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배출하는 쓰레기의 양을 정확히 파악하고, 자연스럽게 쓰레기 감량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실제로 RFID 배출기를 이용하는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고 있으며, 배출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므로 더욱 적극적인 절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캠페인은 지난 3년간 명절 연휴에 진행된 유사 캠페인을 통해 약 6,200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이번 추석 연휴에도 많은 가정의 동참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가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공단 측은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방법도 제시했다. 장보기 전 미리 구매 목록을 작성하고 냉장고 재고를 확인하는 습관은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첫걸음이다. 또한 남은 음식을 볶음밥이나 샐러드 등 다른 요리로 재활용하는 방안도 음식물 낭비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사소해 보이는 습관들이 모이고 모인다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확실하게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추석 연휴가 지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노력을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