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관광지 제주의 인기가 과거만 같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제주로 향하는 발길이 과거에 비해 줄어든 까닭이다. 비록 높은 물가를 비롯한 몇 가지 이슈가 제주의 매력을 발목 잡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제주는 여전히 빼어난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품고 있어 매력적인 여행지로 손꼽힌다. 특히 100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용머리해안은 제주 고유의 지질학적 가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명소로, 아직도 많은 제주도민조차 그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방문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있다.
용머리해안은 제주의 지질학적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한 곳으로, 한라산과 산방산보다 훨씬 이전인 약 100만 년 전 얕은 바다에서 화산 폭발로 생성된 화산체다. 수성화산 분출이 간헐적으로 여러 차례 일어나면서 화산재가 쌓여 다양한 방향으로 지층이 형성되었으며, 오랜 세월 파도와 바람에 깎이고 다시 쌓이며 오늘날의 독특한 지형을 만들어냈다. 검은 현무암과 옥색 바다가 어우러진 풍경은 마치 태초의 제주고향을 마주하는 듯한 경외감을 선사한다. 이 용암과 바다, 그리고 시간이 만들어낸 풍경은 사진이나 영상으로는 온전히 담아낼 수 없는 장엄한 무게감을 지니고 있어 직접 경험해야만 그 진가를 느낄 수 있다.
이처럼 100만 년의 시간을 품은 용머리해안에서 제주의 태초 맛이라 할 수 있는 고사리해장국을 빼놓을 수 없다. 예부터 물과 곡식이 부족했던 제주 땅에서 논농사는 어려웠고, 척박한 화산암에서도 뿌리를 단단히 내리는 고사리는 제주의 생태계이자 중요한 식재료의 시작이었다. 제주 사람들은 독성을 제거한 고사리를 오랜 시간 즐겨 왔으며, 특히 돼지가 흔했던 제주에서는 돼지 뼈로 우려낸 육수에 고사리를 넣어 걸쭉하고 구수한 고사리해장국을 만들어 먹었다. 여기에 메밀가루를 더하면 더욱 풍부한 감칠맛과 든든함이 더해져 제주 사람들의 ‘소울푸드’로 자리 잡았다. “나 고사리야 나 메밀이야” 하는 듯 자연스러운 맛의 조화는 제주 사투리로 ‘베지근하다’는 표현으로 가장 잘 설명되는데, 이는 기름진 맛이 깊으면서도 담백하여 속을 든든하게 채워주는 최상의 맛을 의미한다.
오늘날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은 용머리해안에서 100만 년의 자연사를 경험하고,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탄생한 제주 고유의 음식인 고사리해장국을 통해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맛볼 수 있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제주에서 용머리해안의 장엄함과 고사리해장국의 구수함은 모든 수고로움을 잊게 하는 깊은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