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한국 문화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한국어와 한글의 위상 강화 및 확산에 대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원천으로서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와 문자의 보편적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 9일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김 총리는 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근간이며, 이미 세계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을 통해 14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는 한글이 더 이상 한국만의 전유물이 아닌, 국제적인 언어이자 문자로서의 위상을 확보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을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추진한다. 우선, 우리 사회 전반의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통해 언어의 접근성을 높인다. 더불어,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한글의 실질적인 활용도를 높이고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또한,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겠다는 발표는 미래 기술 발전과 한국어의 연계를 통해 언어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최근 APEC을 ‘초격차 K-APEC’으로 만들기 위한 준비와 함께 한글을 포함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 추진 역시, 한국어와 한글을 중심으로 한 문화적 파급력을 더욱 확대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한국어와 한글은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K-문화의 저변을 확대하고 전 세계 문화 교류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우리 말과 글은 미래 세대와 소통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