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연이은 폭우로 인해 몸과 마음이 지치기 쉬운 시기였다. 이러한 이상기후 현상은 일상에 활력을 잃게 만들고, 잠시나마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갈망을 불러일으킨다. 비록 멀리 여행을 떠나기는 어렵지만, 분위기 전환을 위한 대안으로 지역 사회의 문화 공간을 활용하는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인근에 위치한 독립서점 ‘가가77페이지’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원 사업인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며 독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가가77페이지’는 단순히 책을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 복합문화공간을 지향하며, 이번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일환으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인문학의 깊이 있는 내용을 친숙한 영화를 매개로 쉽고 흥미롭게 풀어낸다.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생각할 수 있는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이라며,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영화와 관련된 철학, 문학 서적들을 통해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한다”고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했다. 12세 이상(영화 ‘그녀’는 15세 이상) 관람 가능한 영화를 선정하여 참여 대상의 폭을 넓힌 점도 눈에 띈다.
이 프로그램은 1회차로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의 진행 하에 인문학적 사유를 나누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영화는 공부보다 중요한 인생의 의미와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특히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메시지는 참여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참여자들은 강연 활동지에 자신의 생각을 기록하고 공유하며 ‘나를 깨운 문장’, ‘내 목소리를 찾아본 순간’ 등 다양한 주제로 내면을 성찰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주는 의미에 대해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 많은 참여자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인문학이 사고와 마음의 밭을 만드는 중요한 학문임을 강조했다. 그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문학 비전공자도 의미와 재미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주제와 영화를 선정했다”며, “AI 시대에 인문학은 오히려 활용 영역이 커질 것이며, 인간적인 사고 체계를 구축하는 근간이 된다”고 덧붙였다.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가가77페이지’의 소식을 접하고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영화와 책을 넘어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삶에 연결하고 싶었다”며, “반복적인 일상에서 벗어나 강연자와 참여자들과 소통하며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고 참여 계기를 설명했다. 박근주 씨는 더불어 “동네 책방이나 도서관과 연계한 인문학 수업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인문학은 꾸준한 성찰과 대화 속에서 깊어지는 분야이기에 장기적인 참여 기회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 아래 전국 곳곳에서 책, 현장, 사람이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에서 열리는 ‘영화로 보는 인문학’은 이러한 사업의 긍정적인 사례로, 독립서점이 지역 문화의 거점으로서 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양질의 프로그램을 무료로 수강할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 서점의 활기를 더하는 ‘길 위의 인문학’은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인문학적 통찰과 즐거움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