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립극장이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를 개최하며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의 현주소를 조망하고 동아시아 음악극의 다양성을 선보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축제는 9월 3일부터 28일까지 약 한 달간 국립극장에서 열리며,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을 주제로 우리나라 창극을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 총 9개 작품을 23회에 걸쳐 선보인다. 이는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다양한 축제 속에서도 ‘제1회’이자 ‘세계적인 축제’로의 도약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축제의 배경에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자리하고 있다. 창극은 1900년대 초 형성되어 오늘날까지 발전해 온 예술 형식으로, 판소리의 노래, 사설, 몸짓 등의 요소를 활용하면서도 여러 배우가 각자의 역할을 맡아 다인극 형태로 공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축제는 이러한 창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과 현재를 파악하고자 기획되었다.
제1회 <세계 음악극 축제>의 개막작으로는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무대에 올랐다. 이 작품은 기존 ‘심청가’의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심청을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2017년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 연출가가 극본과 연출을 맡아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한 <심청>은 관람객들의 호평을 받으며 축제의 서막을 열었다.
축제 기간 동안 9개 작품이 관객을 만나는 가운데, 특히 해외 초청작인 중국 홍콩의 월극 <죽림애전기>와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은 다채로운 문화 교류의 장을 형성했다. <죽림애전기>는 가면을 쓴 배우들이 서사에 맞춰 노래, 춤, 연기, 무술을 선보이는 중국 월극으로, 위나라 말기에서 진나라 초기를 배경으로 ‘죽림칠현’ 후손들의 삶을 그려냈다. 이 작품은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제작되어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이번 축제를 통해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죽림애전기>를 관람하며 작품이 가정과 국가라는 두 가지 측면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전통 문화와 현대 기술의 결합이 인상 깊었다고 밝혔다. 또한, 국립극장에서 열리는 <세계 음악극 축제>가 한국 문화 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보여주며, 창극, 월극, 노극 등이 어우러지는 다채로운 문화 교류의 장이라고 평가했다.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은 조선 말, 작자 미상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주인공 정수정의 삶을 풀어낸 작품이다.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당시 여성으로서 겪는 고충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이름으로 세상에 맞서 당당하게 살아가고자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을 보는 정수정의 이야기는 한 인간이 자신의 이름을 지키며 꿋꿋하게 살아가는 모습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연 관계자는 이번 축제를 통해 민간 단체의 작품이 국립극장 무대에 오를 수 있었던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며, 앞으로 이러한 교류와 협업의 기회가 더욱 많아지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첫 번째 주제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더욱 확장된 범위에서 전 세계의 다양한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발돋움할 예정이다. 국립극장은 축제 관람객들을 위한 ‘부루마블’ 이벤트 등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하며 관객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이번 축제를 통해 한국 창극의 저변을 확대하고,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음악극 축제로 자리매김하려는 국립극장의 행보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