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람을 달에 보내는 일을 하고 있다.’ NASA 청소부의 이 말은 단순한 직업적 소명이 아닌, 구성원 모두가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느낄 때 어떤 위대한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강력한 사례로 작용한다. 최근 군부대에서 강연 요청이 부쩍 늘어난 것은, 나라를 지킨다는 숭고한 임무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여론이나 대중의 목소리에 상처를 입고 혼란과 불안을 겪는 군인들이 많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러한 군인들에게 힐링 강좌를 제공하고 자부심을 심어주기 위한 노력은, 결국 그들의 ‘일’에 대한 근본적인 가치를 재확인시키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군인들이 왜 목숨을 걸고 전쟁터로 뛰어드는지, 소방관들이 왜 죽음을 각오하고 불 속으로 뛰어드는지에 대한 질문은, 단순히 높은 보상이나 금전적 이익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헌신의 동기를 파고든다. 최고 등급의 쇠고기든, 미군 부대에서 맛볼 수 있었던 고급 스테이크든, 그 맛의 본질은 그것이 ‘최고’로 인정받고 있다는 데서 온다. 이는 곧 세상과 국가, 그리고 국민들이 그들의 ‘가치’를 인정해 줄 때 비로소 빛을 발한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직업 1위가 소방관인 것처럼, 선한 가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숭고함에 대한 국민들의 존경은 군인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할 부분이다.
결국, ‘무슨 일을 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은 단순히 직무를 묻는 것이 아니라, 그 일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와 개인의 자부심을 묻는 것이다. 1969년 아폴로 11호 프로젝트의 성공이 단순히 과학 기술의 승리가 아니라, 참여자 개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얼마나 중요하고 가치 있게 여겼는지에 달려 있었던 것처럼, 현대 사회에서도 각자의 자리에서 헌신하는 이들의 자부심과 자긍심을 드높이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문제 해결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다. 군인들을 비롯한 헌신적인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존경과 격려는, 그들이 자신의 일을 더욱 의미 있게 수행하게 만드는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다.
◆ 신영철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위원장,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영철 교수는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지난 10여 년간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소장으로서 직장인들의 정신건강 증진에 힘써왔다. 진료, 방송, 강연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2024년에는 대통령 직속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국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개발을 이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