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 대중문화, 이른바 한류는 과거 BTS, <오징어게임>, <기생충>과 같은 특정 콘텐츠를 넘어 범지구적 문화 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케이팝 분야에서는 블랙핑크, 세븐틴, NCT 등 여러 그룹이 BTS의 앨범 판매 기록을 경신하는가 하면, 국내에는 덜 알려진 스트레이 키즈는
한류의 이러한 거대한 성공은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수의 증가로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 20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는 한국 관광 산업의 새로운 기록이 될 전망이다. 비록 연간 3000만~4000만 명을 기록하는 일본, 중국이나 2024년 1억 명을 돌파한 프랑스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한류의 강세는 한국 관광의 미래를 밝게 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미디어를 통해 한국을 접하는 것을 넘어, 실제 거리를 경험하는 새로운 방식이 한류에 더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 속에서 간과할 수 없는 어두운 그림자도 존재한다. 한국의 거리를 생중계하는 수많은 관광 유튜버들의 카메라는 단순히 밤거리나 홍대, 성수동의 즐거움만을 포착하는 것이 아니다. 명동, 광화문, 건대 등 도심에서 상시적으로 벌어지는 과격한 구호의 혐오 시위 또한 전 세계로 생중계되고 있다. 특히 올해 5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 관광객들이 한국 땅에서 중국인을 혐오하고 죄악시하는 목소리에 직접 노출되면서, 이를 지켜보는 다른 외국 관광객들 역시 한국의 이면에 놀라움을 표시하고 있다.
이처럼 한류 콘텐츠가 글로벌 대중문화로 확산되면서, 콘텐츠 내부에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포함된 인종주의적 감수성이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표현들에 대해 세계의 한류 애호자들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케이팝 팬덤 내부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새로운 남성성과 여성성을 포함한 젠더 표현 문제가 주요 이슈로 다루어져 왔다. 한국 콘텐츠는 기존의 지배적인 남성성이 보여주지 못한 부드러운 남성성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아이돌 문화는 세계 청년들에게 보다 자유로운 젠더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케이뷰티의 미백 중심적인 문제 역시 아이돌의 피부 표현을 둘러싼 인종과 피부색주의에 대한 토론으로 이어지곤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마주하는 혐중 시위는 미디어 문화에 기반한 한류 애호자들이 한국의 차별적인 현실을 극명하게 인지하게 되는 순간이다.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은 이러한 현상들을 분석하며, 한류가 ‘밑에서부터의 세계화’ 즉, 대중이 주도하는 버텀업 문화 현상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더욱 선한 영향력, 배려와 연대의 태도, 돌봄과 겸손의 제스처, 그리고 공동체의 가치가 중요시된다. 케이팝 그룹들이 팬들과 맺는 관계 역시 이러한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
한류는 특정 강대국이 아닌 동아시아의 작은 나라가 만들어낸 비주류의 아름다움이기에, 차별과 배제의 담론은 한류에 있어 가장 큰 적이 된다. 홍 센터장은 한류의 미래에 대한 질문에 대해, 시장의 축소가 아닌 ‘우리 내부의 차별이라는 적과의 싸움에서 이기지 못할 때’ 위기가 올 것이라고 단언한다. 한류의 미래를 위해서는 지난 십수 년간 제자리걸음인 ‘차별금지법’ 제정이 절실하며, 이는 곧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