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자녀와의 소통 문제와 더불어 점차 높아지는 문화생활 비용 부담은 많은 가정의 공통적인 고민거리다. 특히 영화 관람은 OTT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극장을 찾는 발걸음이 줄면서, 이제는 특별한 날이 아니면 쉽게 결정하기 어려운 활동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8일부터 영화 관람료 6천원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 배포하며, 이러한 문화 향유의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나섰다.
이번 할인권 재배포는 민생 회복과 영화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지난 7월 25일부터 시작된 450만 장 할인권 배포 사업의 일환이다. 1차 배포 시 사용되지 않은 잔여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로 배포하는 것으로, 특히 1차 때 할인 혜택을 받았던 이용자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미리 담겨있는 1인 2매의 할인권을 또 한 번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다만, 기존 회원이 아니라면 신규 회원 가입이 필요하며, 할인권은 선착순으로 소진될 예정이다. 또한, 이번 할인 혜택은 대형 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 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적용되어, 영화 선택의 폭을 넓히고 문화 접근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할인권 배포는 이미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문체부에 따르면, 1차 할인권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 증가했다. 할인권 배포 후 3주간의 분석 데이터에서는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TT 서비스의 보편화로 인해 감소했던 극장 관객 수를 다시 끌어올리고, 영화 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6천원 할인권 재배포는 단순히 영화 관람 비용을 낮추는 것을 넘어, 가족 간의 소통 증진과 더불어 침체된 영화 산업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정책적 도구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예매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을 위한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 운영 또한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번 추가 배포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부담 없이 극장을 찾고, 영화를 통해 일상 속 소소한 즐거움을 되찾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