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자력 산업 생태계가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직면했던 어려움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의 중심에는 신한울 1,2호기의 성공적인 준공과 신한울 3,4호기의 착공이 자리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원전 건설을 넘어, 과거 기술 자립에 대한 열망과 산업 기반 유지라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특히 신한울 1,2호기는 그간 해외 기술에 의존해야 했던 원자로 펌프, 제어 시스템 등을 완전히 국산 기술로 대체하며 우리나라 원전 기술의 결정체로서 그 위상을 증명했다. 더 나아가, 신한울 3,4호기의 착공은 ‘탈원전’ 기조로 인해 침체되었던 원전 산업 생태계에 단비와 같은 희망을 제공하며, 침체되었던 산업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발 빠른 정책 전환은 2022년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동향을 정확히 읽어낸 결과물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국내적 성과는 전 세계적인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맥을 같이한다. 2020년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은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경고하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2022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원전을 친환경 에너지로 포함하는 택소노미 개정을 결정했다. 같은 해 뉴욕타임즈는 ‘원전 르네상스’의 도래를 예고하는 기사를 게재하며 이러한 흐름을 뒷받침했다. 특히 유럽연합이 과거 ‘유럽 그린딜’에서 원전을 제외했다가 2년 만에 다시 포함시킨 결정은, 원전 없이는 탄소중립 달성이 어렵다는 현실을 인정한 상징적인 장면으로 해석된다.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에 가장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유럽 지역에서조차 원전 없이는 지속 가능한 탄소 감축이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풍부한 풍력 자원을 기반으로 재생에너지를 추진하는 영국은 이미 원전을 탄소중립의 핵심 수단으로 설정하고 산업 기반 확보에 나서고 있다. 수력 및 풍력 자원을 보유한 스웨덴은 탈원전 정책을 철회하고 2050년까지 10기의 원전을 추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17년 원전 건설 확대를 금지했던 스위스 역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국민투표를 준비 중이며, 탈원전의 선두 주자였던 이탈리아마저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유럽은 세계 최대의 원전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스웨덴의 10기를 포함해 네덜란드 4기, 폴란드 6기, 체코 4기 등 다수의 유럽 국가들이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영국은 1GW급 원전 24기 분량의 추가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유럽 시장에서 체코의 신규 원전 사업은 경쟁 입찰을 통해 한국이 프랑스, 미국 등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승리한 첫 번째 사례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는 15년 전 UAE 원전 수주에 이은 또 한 번의 낭보이며, K-원전이 세계 원전 르네상스를 견인하는 주역으로 떠올랐음을 시사한다.
K-원전의 경쟁력은 1972년 고리 1호기 도입 이후 꾸준히 진행해 온 기술 개발과 2년에 한 기꼴로 원전을 건설하며 유지해 온 산업 생태계에서 비롯된다. 2000년대 들어서도 국내 12기, 해외 4기의 원전을 성공적으로 건설하며 공급망, 설계, 제작, 건설 전반에 걸친 기술력을 확보했다. 만약 탈원전 정책이 장기화되었다면 자칫 잃을 뻔했던 이러한 소중한 산업 기반을 신한울 1,2호기 준공과 신한울 3,4호기 착공을 통해 다시 한번 공고히 하게 된 것이다. 2024년 10월 30일의 신한울 1,2호기 준공 및 신한울 3,4호기 착공 기념식은 대한민국 원전 산업 역사에 길이 남을 순간이다.
이제 우리의 원전 기술은 네덜란드 시장에 도전할 차례다. 네덜란드는 이미 한국을 비롯해 프랑스, 미국 등에 참여를 요청하며 원전 시장 확대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세계 원전 시장의 확대라는 기회와 더불어, 끊임없는 기술 연마와 ‘팀 코리아’의 결속을 통해 다음 경쟁에서도 승리하겠다는 의지를 다져야 한다. 현재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국가 역량을 결집하여 K-원전이 우리 청년 세대에게 또 다른 자부심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때다. 지금이야말로 우리 청년들이 유럽의 청년들에게 탄소중립을 이끄는 K-원전을 이야기하는 미래를 만들어갈 절호의 기회이며, K-원전이 세계 원전 르네상스를 선도하도록 지지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