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국민 누구나 공공 외교관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과거 한류 열풍이 불기 전, 외국 친구들의 호기심을 자극해 한국을 방문하게 만들었던 경험은 문화와 예술을 통한 국민 간의 교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한다. 이러한 국민 간의 신뢰와 호감을 쌓는 외교 활동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정부 간 외교와는 다른 ‘공공외교’를 국민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축제가 열리고 있다. 올해로 7회를 맞은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국민 참여형 공공 외교 사업의 확대와 신기술 활용 디지털 공공 외교 강화라는 정책 방향과 맥을 같이 한다.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외교부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공동 주최하는 행사로, 지난 9월 8일부터 27일까지 KF 글로벌 센터와 각 대사관, 서울광장 등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이 축제는 참가자들이 우리나라의 공공 외교 현장과 문화를 한자리에서 즐기며 서로의 나라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호 이해 증진은 궁극적으로 국제 사회 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호감과 신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이번 공공외교주간의 여러 프로그램 중 하나로, 필자는 딸과 함께 ‘콜롬비아 스페니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 워크숍에 참여했다. 커피 애호가인 딸은 성인이 된 후 커피를 즐기기 시작했으며, 콜롬비아 사람에게 직접 커피 이야기를 듣는 흔치 않은 기회에 큰 기대를 보였다. 지난 9월 22일, 참가자들은 19층 세미나실로 이동하여 콜롬비아 전통 모자를 쓰고 기념 드립백 커피를 받으며 워크숍을 맞이했다. 워크숍은 “한국과 콜롬비아는 거리는 멀지만, 커피로 서로 마음을 나눌 수 있다”는 메시지로 시작되었다.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한국과 콜롬비아는 약 17,800km의 직선거리를 자랑하지만, 커피라는 매개체를 통해 서로 공감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특히 한국은 ‘커피 공화국’이라 불릴 만큼 인구 대비 커피 소비량이 높은 나라이기에, 커피를 통한 콜롬비아와의 연결고리는 더욱 의미 있게 다가왔다.
본격적인 워크숍에 앞서 참가자들은 테이블에 놓인 콜롬비아 상징인 모자를 써보거나 사진을 찍으며 흥미를 더했다. 이어서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가 강연을 맡아 커피의 역사와 콜롬비아 커피의 중요성, 그리고 콜롬비아 커피 여행에 대해 설명했다. 대사는 콜롬비아가 3개의 산맥과 화산재 토양 덕분에 1년 내내 커피 재배가 용이하며, 손으로 수확하고 100%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커피 맛을 낸다고 설명했다. 또한, 드립 커피 필터는 천으로 된 필터를 사용하고, ‘파넬라’라는 콜롬비아 전통 설탕과 함께 즐긴다는 이야기는 참가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다. 커피가 일반 가정집에서 시작해 전문 시설로 확산되었고,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수요가 증가했다는 커피의 역사적 흐름 또한 흥미로웠다. 더불어 해외에서 커피 관광이 활발하며, 커피 재배 경관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설명은 광활한 커피 재배 지역에 대한 상상을 불러일으키며 방문 욕구를 자극했다.
대사의 강연 후, 콜롬비아 커피 전문가인 강병문 씨가 워시드 방식의 커피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하며 직접 커피를 내렸다. 콜롬비아가 비가 많이 내리는 나라이기에 수확기 발효와 부패 위험을 줄이기 위해 워시드 방식을 선택한다는 설명은 커피 제조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필자 역시 커피에 대해 어느 정도 안다고 생각했지만, 오늘 워크숍을 통해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을 많이 알게 되었다.
워크숍에서는 두 종류의 콜롬비아 커피를 시음하며 향과 맛의 미묘한 차이를 느껴보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어떤 커피가 더 고소하거나 과일 향이 나는지, 어떤 맛이 자신의 취향에 더 맞는지에 대해 딸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고, 다른 참가자들 사이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같은 커피라도 사람마다 다른 취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신선한 경험이었다.
커피 외에도 콜롬비아가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도 언급되었다. 콜롬비아는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으며, 현재는 무비자 협정을 통해 양국 국민들이 상호 방문하기 편리하다는 점이 소개되었다. 함께 커피 향을 맡으며 찍은 단체 사진에서 콜롬비아 모자를 쓴 채 자연스럽게 웃는 사람들의 모습은 물리적인 거리가 문화 교류에 중요하지 않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
워크숍이 진행된 장소 옆에는 공공외교에 관한 다양한 포스터가 전시되어 있었다. 이는 지난 8월 29일 외교부가 발표한 국민 참여형 공공 외교 사업 확대 및 신기술 활용 디지털 공공 외교 강화 정책과도 맞닿아 있다. 올해 우리나라에서 개최되었거나 예정된 여러 국제 행사, 그리고 한국이 참여국은 아니지만 APEC 회의 개최국이라는 점은 민간 외교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공공외교주간’은 단순히 외국 문화를 접하는 것을 넘어, 외교가 정부만의 영역이 아니라 국민의 지지와 참여를 통해 지속 가능하며, 국민의 바람과 의견이 담긴 외교가 더욱 끈끈하고 강력한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을 깨닫게 한다. 9월 27일까지 이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참가자들이 공공외교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고 스스로 공공외교의 주인공이라는 인식을 갖도록 이끌 것이다. 필자 또한 26일에 열리는 스페인 행사에 아들과 함께 다시 한번 참석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