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 시장에서 거침없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한류의 지속적인 성공 뒤에 드리워진 잠재적 위협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스트레이 키즈가 빌보드 Top 200 차트에서 7개 앨범 연속 1위라는 대기록을 달성하며 케이팝의 글로벌 영향력을 재확인하고, 이러한 열기가 한국 방문 관광객 2000만 명 돌파라는 긍정적 수치로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한류의 진정한 위기가 외부 시장의 변동성이 아닌, 우리 사회 내부의 차별에서 비롯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는 단순히 문화 현상을 넘어 대한민국 전체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라는 지적이다.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분석을 내놓으며, 한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지난 십수 년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차별금지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BTS를 넘어서는 앨범 판매 기록을 세운 블랙핑크, 세븐틴, NCT 등 여러 케이팝 그룹의 성공은 물론, 멤버 중 호주 국적을 가진 이들이 영어 소통과 군 복무 문제까지 원활하게 극복하며 안정적인 활동을 이어가는 모습은 향후 케이팝 그룹 성공의 귀감이 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케이팝을 넘어 한국 대중음악 역사상 전례 없는 기록이며, 한국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연간 2000만 명 이상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견인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을 거리에서 직접 경험하며 한류를 체감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이 세계적인 관광 대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 속에서도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이 국제 사회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는 점은 우려를 자아낸다. 거리에서 시시각각 벌어지는 과격한 구호의 혐오 시위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특히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으며, 이는 한국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한류를 접한 팬들이 한국의 차별적인 현실을 직접 마주하는 순간이 되고 있다. 국내 외국인 노동자 문제와 연결되는 외국인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재현, 그리고 과도한 미적 기준이나 드라마 속 인물 재현을 둘러싼 팬들의 토론은 현실 속 미투 운동, 퀴어 퍼레이드 논란과 같은 사회적 문제와 맞닿아 있다.
홍 센터장은 한류가 ‘밑에서부터의 세계화’, 즉 힘없는 일반 수용자들이 만들어낸 버텀업 문화 현상이기에 더욱 선한 영향력과 배려, 연대, 돌봄, 겸손의 가치가 중시된다고 분석했다. 케이팝 그룹과 팬들 간의 관계, 그리고 콘텐츠 속 인물들이 추구하는 가치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류의 아름다움과 비주류적 매력은 차별과 배제라는 거대한 적 앞에서 위협받고 있다.
결론적으로, 한류의 미래는 시장 축소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내부의 차별이라는 적과의 싸움에서 이기지 못할 때 찾아올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이를 극복하고 진정한 ‘밑에서부터의 세계화’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지난 십수 년간 진전을 보지 못한 차별금지법 제정이 필수적이며, 이는 곧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미래를 위한 중대한 과제라고 홍석경 센터장은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