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세계 3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기로에 섰다. 그러나 급변하는 기술 환경과 산업 내 다양한 이해관계 속에서 뚜렷한 성장 동력 확보와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5일,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 ‘펍지 성수’에서 ‘세계 3위의 게임강국으로 레벨업’이라는 주제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며 게임 산업의 미래를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는 이 대통령이 주재한 첫 번째 게임 간담회로,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 및 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게임인재원 학생 등 업계 관계자들이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번 간담회가 게임 산업 전반의 현안을 공유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자리였음을 밝혔다. 간담회 시작 전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인 ‘인조이’를 직접 체험하며 게임의 몰입도와 파급력에 대한 깊은 관심을 드러냈다. 그는 게임 내 경제 시스템과 현실적인 노동 강도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게임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선 산업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는 포부를 밝히며, 문화산업의 핵심적인 축으로서 게임 분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산업적 관점에서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게임 산업에 대한 몰입도를 산업 전반의 성장 동력으로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나아가 이러한 지원이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게임 업계의 오랜 요구 사항 중 하나인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해 이 대통령은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 및 사업자의 요구와 더불어 고용된 노동자들이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정책 판단의 문제로서, 양측의 의견을 모두 반영하여 지혜로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어진 비공개 토의에서는 업계 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속에서도 AI 기술 등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시킬 기회가 생겼다며, 산업으로서의 게임 진흥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정욱 넥슨 대표는 게임을 전략 품목으로 삼아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위해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디게임 업체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작은 규모의 지원이라도 보다 많은 팀들에게 제공되면 효과적일 수 있다”며 현실적인 제안을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 방식, 문화 콘텐츠 수출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및 멀티 유즈 여부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 꼼꼼하게 논의했다. 이러한 깊이 있는 토론을 통해 지원 확충이나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며, 게임 산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