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예술을 만나는 경험이 시민들에게 문화적 휴식을 선사하고 있다. 국립극단은 이러한 시민들의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이는 별도의 예매 없이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으며,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통해 남녀노소 모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국립극단이 이러한 거리예술 공연을 기획한 배경에는 일상 속에서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려는 노력이 담겨 있다. 1950년 창단 이후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꾸준히 질 높은 작품을 선보여 온 국립극단은 올해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화요일 저녁에는 ‘명동人문학’ 강연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를 운영하는 등 시민들이 극장과 문화를 더욱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다채로운 무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노력의 좋은 예시를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에 맞춰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하나둘 멈추었고, 이내 호기심 어린 시선은 몰입으로 바뀌었다. 단 한 명의 연주자와 가야금 선율, 그리고 다양한 소품만으로도 야외마당은 작은 극장으로 변모했으며, 과감한 연출과 관객과의 소통은 공연의 경계를 허물었다. 관객들은 단순한 관람객이 아닌 공연의 일부가 되는 경험을 통해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 체험을 얻었다. 아이와 함께 공연을 보던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하기도 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함으로써 예술이 삶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도록 돕는다. 특히 공연 시간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 적합하며, 별도 예매 없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는 점은 바쁜 직장인들에게 큰 장점이다. 물론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남은 ‘문화가 있는 날’ 공연 일정으로는 9월 24일과 10월 29일이 예정되어 있다. 명동 방문이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제공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할인 혜택, 국공립시설 무료 및 연장 개방 정보, 도서 대출 혜택 등 다양한 항목별 정보를 제공하여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문화생활을 계획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기고 싶다면 명동으로 발걸음을 옮겨 작은 무대가 선사하는 일상 속 쉼표를 경험해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