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범죄가 더욱 조직화되고 지능화되면서, 피해 신고 후에도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워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기존의 상담 위주 대응 방식으로는 한계가 명확했으며, 통신·금융 분야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범죄 특성상 경찰 단독으로는 효율적인 대응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 하에, 경찰청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이하 통합대응단)’을 출범시키며 보이스피싱 문제 해결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통합 대응 체계 구축에 나섰다.
이번 통합대응단의 출범은 이재명 대통령의 보이스피싱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 대응 방안 마련 지시에 따라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수립된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의 핵심 과제 수행의 일환이다. 2025년 10월 15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에서 열린 개소식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들과 통신·금융 관련 기업 및 협회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보이스피싱 대응을 위한 적극적인 협력을 다짐했다.
통합대응단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등 관련 기관에서 파견된 인력이 한곳에 모여 근무하며 실질적인 범정부 협업의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신고·제보 접수 시, 금융기관 및 통신사와의 직통 회선 구축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추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통합대응단은 정책협력팀, 신고대응센터, 분석수사팀의 세 가지 팀으로 구성되어, 상담부터 분석, 차단, 수사, 그리고 정책 반영까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신고대응센터는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되며, 112 등으로 접수된 신고·제보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을 통해 계좌 지급 정지, 소액결제 차단, 악성 앱 삭제 등 피해 예방 조치를 통합적으로 처리한다. 분석수사팀은 신고·제보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전화번호 이용 중지 등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전국 시도경찰청 전담수사대 및 관계 기관과의 정보 공유를 통해 범인 검거와 범죄 수단 차단을 진행한다. 정책협력팀은 각 기관 파견자들과 함께 유기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법령·제도 개선, 정책 반영, 외국 기관과의 협력 등을 추진하여 범행의 사전 차단 및 효과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최근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범죄 조직에 의한 한국인 감금 사건 등 신종 범죄에 대해서도 통합대응단을 중심으로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날 개소식에서는 전기통신금융사기 근절 협업 강화 업무협약(MOU)도 체결되었으며, 총 15개 정부·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협회가 참여하여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과 범죄 근절을 위한 협력과 지원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범죄를 넘어 국가적 위협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며, 통합대응단을 중심으로 관계 기관이 힘을 모아 실질적인 피해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또한 통합대응단 출범이 보이스피싱 대응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하며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역시 범정부 TF를 중심으로 통합대응단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꼼꼼히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통합 대응 체계 구축을 통해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국민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