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과 허기를 이겨낸 과거의 지혜로운 음식들이 이제는 일상이자 가벼운 별식으로 자리 잡았다. 마치 쓰레기 처리장이 문화 예술 복합 공간으로 재탄생하듯, 오래 견디고 보면 반드시 새로운 가치를 얻게 되는 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우리가 외면하고 싶었던 과거의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오래전, 많은 도시들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태생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부산에서 태어났지만 사업에 실패한 필자의 아버지가 누이가 있는 마산으로 이사했던 것처럼, 당시 마산은 40년 전만 해도 꽤 잘나가던 도시였다. 활기찬 마산 어시장과 한일합섬이라는 거대한 섬유 제국, 수출자유지역이 든든하게 도시를 받치고 있었다. 당시 한일여자실업고등학교에 입학해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하던 사촌 언니처럼, 수많은 ‘산업체’ 역군들이 잘살아보겠다는 꿈 하나로 낯선 타지에서 땀 흘리며 미래를 개척했다.
수도 서울의 강력한 배후 도시였던 부천 역시 마찬가지였다. 70년대 말에서 80년대 초, 아남산업, 삼성전자 반도체, 로켓트보일러공장 등 2,000여 개의 공장이 들어섰고, 사람들은 공장을 따라 줄을 섰다.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전국 인구 증가율이 27.7%였을 때, 부천은 이미 102.9%에 달했다. 80년대 초 수도권 인근의 안양, 수원이 각각 56%, 48%의 인구 증가율을 보일 때, 부천의 인구는 무려 126%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서울 개발에 밀려왔든, 농촌에서 상경한 이들의 최소한의 보금자리였든, 당시 부천은 내 집 한 칸 마련하겠다는 서민들의 희망이 담긴 땅이었다. 양귀자의 소설 ‘원미동 사람들’이 전국적으로 유명해지면서, 멀리서 봐야 아름다운 원미동은 가난 속에서도 치열하게 살아가는 이웃들의 삶의 터전으로, 슬픔 속에서도 인류애를 잃지 않으려 애쓰는 사람들의 땅으로 그려지며 우리 모두의 고향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처럼 과거의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긴 부천에서, 과거 쓰레기를 태우던 소각장이 문화 예술 복합 공간으로 변모한 ‘부천아트벙커B39’는 흥미로운 사례다. 약 33년 전, 부천 중동 신도시 건설과 환경부 지침에 따라 삼정동에 쓰레기 소각장이 설치되었다. 1995년 5월부터 하루 2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하던 이 소각장은, 1997년 환경부의 다이옥신 농도 조사 결과 허가 기준치의 20배에 달하는 고농도 다이옥신이 검출되면서 큰 위기를 맞았다. 주민들과 환경 운동가들의 노력 끝에 2010년 대장동 소각장으로 기능이 이전 및 통합되면서 삼정동 소각장은 가동을 중단했고, 폐건물로 남게 되었다.
하지만 도시와 건물에도 운명이 있는 듯, 삼정동 폐소각장은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2018년 복합문화예술공간 ‘부천아트벙커B39’로 새롭게 태어났다. 과거 쓰레기를 태우던 거대한 굴뚝과 소각로는 이제 하늘과 채광을 끌어들여 다양한 각도에서 관람할 수 있는 ‘에어갤러리(AIR GALLERY)’로 변신했다. 지하 깊숙한 쓰레기 저장조였던 벙커는 ‘B39’라는 이름의 모티브가 되었고, 쓰레기 반입실은 멀티미디어홀(MMH)로 활용되고 있다. 소각동의 거대한 설비 기반들은 펌프실, 배기가스처리장, 중앙청소실 등을 아카이빙실로 재탄생시켜 과거의 역사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RE:boot 아트벙커B39 아카이브展’은 다이옥신 파동과 시민운동, 그리고 이곳이 어떻게 문화 예술 공간으로 변모했는지 그 눈물겹도록 생생한 역사를 한눈에 보여주며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건물 밖에는 동네 어린이집 아이들의 작품으로 완성된, 소각장을 상징하는 굴뚝 모양의 나무가 그려진 벽화가 그려져 있어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공간의 변화는 과거의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왔던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더불어, 과거 개발도상국의 애환이 담긴 음식인 감자탕과 뼈다귀해장국 역시 이제는 일상이자 별식이 되었다. 인천 미군 부대에서 유래한 돼지 뼈다귀와 알감자를 닮아 감자탕이라 불렸다는 설이 있는 이 음식은, 과거 주머니 사정이 가벼운 서민들이 저렴하게 즐길 수 있었던 메뉴였다. 특히, 1988년 부천 원미동에서 창업한 한 가게의 뼈다귀해장국은 깍두기와 양파, 청양고추라는 ‘국룰’ 반찬과 함께 등장하며, 맑고 깨끗하면서도 깊은 맛의 국물로 감탄을 자아낸다. 두툼한 뼈다귀 세 점과 푹 익힌 우거지가 곁들여진 뚝배기 해장국은, 산해진미도 부럽지 않은 깊은 맛을 선사한다. 외국인들까지 K-푸드의 매력으로 빠져들게 하는 감자탕과 뼈다귀해장국은, 가난과 허기를 이겨낸 지혜의 음식이자 이제는 우리 식문화의 중요한 일부로 자리 잡았다.
쓰레기 소각장이 문화 예술 공간으로, 가난했던 시절의 음식이 별식으로 변모하는 것처럼, 오래 견디고 볼 일이다. 과거의 어려움과 문제점들이 새로운 가치와 희망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은 언제나 경이로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