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국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연휴를 앞두고 119안전신고와 같은 필수적인 행정 서비스 이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화재는 국가의 중요한 정보 자원을 관리하는 시설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그 파장과 복구의 시급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회의를 열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즉각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2일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 가운데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가 복구된 것은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안전 및 재난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또한, 국가의 각종 기록물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 역시 재가동을 시작하며 정보 접근성 확보에 나섰다.
윤호중 중대본부장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가 행정전산망 장애로 불편과 걱정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송구하다”고 밝히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우선 순위를 두고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복구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했으며, 복구 현장에는 예비비까지 투입될 예정이다. 또한,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국정자원 현장을 방문해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인력도 복구에 참여하여 안정성과 재발 방지까지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과거에 사용되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재개했다. 행정안전부는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를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안내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사항은 보완하여 행정 공백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 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 공개와 대체 서비스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어 국민들이 행정 서비스를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