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를 앞두고 정부가 ‘여행가는 가을’이라는 이름으로 각종 할인 혜택을 담은 종합 대책을 발표했지만, 고물가·고금리 상황으로 인한 가계 부담 증가가 여행 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소비 진작 효과를 거두기 위한 세심한 정책 설계가 요구된다.
이번 ‘여행가는 가을’ 종합 대책은 교통, 상품, 숙박 등 여행 전반에 걸쳐 최대 50%에 달하는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TX 관광열차 5개 정기노선은 50%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며, ‘가을여행 특별전’을 통해 여행 상품 또한 최대 30% 할인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 숙박 부문에서는 숙박세일페스타(가을편)를 통해 최대 5만 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으며, 이는 10월 30일까지 이어진다.
또한, 명절 기간 동안 가중되는 교통 및 주차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책도 마련되었다. 10월 4일부터 7일까지는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되며, 10월 2일부터 12일까지는 KTX 등 역귀성 열차 운임을 30~40% 할인해 준다. 더불어 10월 3일부터 9일까지는 무료 개방 주차장을 확대 운영하며, 이는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TMAP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행객들의 발걸음을 유도하기 위한 관광지 무료 개방도 이루어진다. 10월 3일부터 9일까지는 궁, 능, 유적기관이 무료로 개방되며, 10월 5일부터 8일까지는 미술관 입장료가 면제된다. 국립자연휴양림은 10월 6일부터 8일까지, 국립수목원은 10월 3일부터 9일까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단, 추석 당일은 휴원).
지역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된다. 비수도권 전용 공연·전시 쿠폰 할인율이 상향 조정되어, 공연 예술의 경우 1매당 1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미술 전시는 1매당 3천 원에서 5천 원으로 할인 폭이 커졌다. 또한, 비수도권 및 인구 감소 지역 등에서 사용 가능한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도 상향 조정될 예정이다.
이러한 다양한 혜택들이 가계 부담 완화와 더불어 추석 연휴 기간 동안의 국내 여행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최근 지속되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 심리가 위축된 상황을 고려할 때, 제시된 할인 혜택들이 실질적인 여행 소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소비 촉진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의 이번 정책이 ‘따뜻한 마음과 함께 행복하게 보내는 추석’이라는 취지에 부합하도록,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적인 정책 집행이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