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식량 안보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2026년 예산안을 통해 이 같은 문제점을 정면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기존의 농업·농촌 정책이 직면했던 다양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며 국가적 과제 해결에 나선 것이다.
발표된 2026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은 총 1조 5409억 원을 ‘국민안전,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 · 식량안보 강화 및 유통구조 혁신’에 배정하며, 이는 식량 공급망의 안정성과 국민 먹거리의 안전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특히 ‘국민 먹거리 돌봄 강화’에 2179억 원을 투입하여, 식량 수급의 불안정성을 완화하고 위기 상황에서도 국민들이 안정적으로 먹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식량 안보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현 상황을 반영한 조치이다.
이와 더불어, 예산안의 상당 부분은 농가 소득 및 경영 안정을 위한 국가 책임 강화와 농업 분야의 세대 전환을 촉진하는 데 집중된다. 총 2조 4135억 원이 이 분야에 투입되며, 특히 AI 기반 농업의 스마트화와 K-푸드+ 수출 확대 등을 통해 농식품 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데 5253억 원을 투자한다. 이는 고령화와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촌 현실을 타개하고, 첨단 기술 도입을 통해 농업의 생산성을 높여 농가 소득 증대를 꾀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한, ‘균형성장을 선도하는 농촌’에 5253억 원을, ‘사람과 동물이 더불어 행복한 사회’를 위한 241억 원을 배정함으로써 농촌 지역의 경제 활성화 및 삶의 질 향상, 그리고 동물 복지 강화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힘쓸 것임을 시사한다.
이번 예산안이 성공적으로 집행될 경우, 우리 농업·농촌은 식량 안보 강화라는 국가적 목표를 달성하는 동시에, 기술 혁신과 농가 소득 안정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국민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농촌 사회가 활력을 되찾는 데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