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한민국은 심각한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사회 전반에 걸쳐 경제 성장 둔화와 복지 부담 증가라는 복합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증가와 남성의 육아 참여 요구 증대라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기존의 육아 지원 정책만으로는 노동자 개인의 경력 단절 우려와 사업주의 인력 운영 부담을 동시에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2026년, 노동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육아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나섰다.
정부가 2026년 예산안으로 3조 3,936억 원을 투입하여 17만 4,000명의 노동자에게 육아휴직 급여를 지원하는 정책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반영한 핵심적인 해결책이다. 이 제도는 임신 또는 아이 양육을 위해 부모가 최대 1년 6개월까지 휴직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육아휴직 급여는 월 최대 250만 원을 지급한다. 특히, 자녀 생후 18개월 내에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첫 6개월 동안은 급여를 월 최대 450만 원까지 확대하여 부모의 공동 육아 참여를 적극적으로 장려한다. 더 나아가, 사업주에게는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허용한 경우, 육아휴직자 1인당 월 30만 원의 육아휴직 지원금을 지급하며, 이를 위해 2026년에는 1,56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3만 9,000명의 사업주에게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노동자들이 경력 단절에 대한 부담 없이 양육과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역시 강화된다. 2026년 예산안으로 2,680억 원을 투입하여 3만 6,000명의 노동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는 주 40시간 노동자가 10시간을 단축할 경우 월 최대 62만 5,000원을 지원하는 규모다. 이 제도를 허용한 사업주에게는 단축 노동자 1인당 월 30만 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며, 1~3번째 노동자에 대해서는 월 10만 원의 추가 지원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443억 원의 예산이 편성되었으며, 2만 7,000명의 사업주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일과 삶의 균형을 지원하는 ‘워라밸일자리장려금’도 새롭게 선보인다. 가족 돌봄, 임신, 학업 등의 사유로 근로시간을 15~30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 제도는 사업주에게도 근로단축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50만 원을 지원하며, 281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또한, 육아휴직 등으로 인한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인력 지원금도 확대된다.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30일 이상 부여하고 대체인력을 30일 이상 고용한 사업주에게 대체인력 1인당 월 최대 140만 원을 지원하는 이 제도는 1,303억 원의 예산을 통해 1만 7,000명의 사업주에게 혜택을 제공한다. 더불어, 육아휴직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노동자의 업무를 분담하는 동료 노동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사업주에게는 업무분담 지원금으로 1인당 월 최대 60만 원(육아기 단축 노동자는 월 최대 20만 원)을 지급하며, 252억 원의 예산을 통해 9,000명의 사업주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들은 저출산으로 인한 미래 사회의 위기를 극복하고, 동시에 노동자의 삶의 질 향상과 사업주의 안정적인 인력 운용을 도모하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안착될 경우,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는 긍정적인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고, 궁극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