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강릉 지역에 닥친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사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지역 주민들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농업 및 산업 전반에 걸쳐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에 정부는 국가적 차원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강릉 가뭄 대응 현장지원반’을 긴급 구성하고, 전국적인 자원 동원에 나섰다.
지난 8월 30일, 행정안전부는 가뭄으로 인한 재난 사태를 공식 선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관계기관 합동 현장지원반을 즉시 소집했다. 이 지원반은 강릉시청에 9월 1일부터 함께 근무하며 가뭄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각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실질적인 지원이 적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나아가, 정부는 가용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하여 응급 급수 체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물 나눔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민·관 협력 또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범국가적인 지원 움직임의 일환으로, 소방청은 8월 30일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하여 전국에서 소방차 71대를 강릉으로 신속하게 집결시켰다. 해양경찰청은 5000톤급 독도경비함인 삼봉호를 투입하여 생활용수를 긴급 공급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였다. 국방부 역시 9월 4일부터 군인 800여 명과 대형 물탱크 차량 400여 대를 동원하여 인근 하천의 물을 강릉시의 주요 수원지인 오봉저수지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급수 차량의 원활한 이동과 지원을 위해 국토교통부는 운반급수 차량에 대한 도로 통행료를 면제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경찰청은 교통 통제 및 지원을 담당하며, 산림청은 산불 진화용 차량과 응급 저수조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가뭄 극복에 힘을 보태고 있다. 또한, 경기도 화성시, 인천시, 대구시 등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병물과 급수차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며 추가 용수 확보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정부는 더 나아가 근본적인 물 공급 해결을 위해 인근 저수지의 용수 활용도를 높이고 남대천의 수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추가 설비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농어촌공사와 환경부 등 관련 기관들은 협력을 통해 공공 관정을 개발하고 해수 담수화와 같은 새로운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정부는 9월 2일부터 전국재해구호협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긴급 모금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앞서 6만 병의 병물을 강릉시민들에게 긴급 지원한 바 있으며, 기업과 시민단체 등 민간에서도 물 나눔에 적극 동참하며 온정을 더하고 있다. 강릉시는 확보된 병물 247만 병을 우선적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취약 기관에 배부하고, 순차적으로 일반 시민들에게도 배부하여 물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정부는 강릉의 가뭄 상황 극복을 위해 모든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물 나눔에 적극 동참해주시는 등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하며, 이번 가뭄 사태 극복을 위한 범국민적 참여와 협력을 촉구했다.